- 통일축구, 남북 없는 응원... 통일교육 현장으로 재탄생
전후반 90분 종료, 결과는 남한 3: 북한 0. 하지만 남한, 북한 가릴 것 없이 그곳에 있는 모두가 승자였다. 남한 선수들을 응원하다가도 북한 선수들이 볼을 낚아채 돌진하면 또 '우~와'하며 응원했다. 14일 저녁 광복절 60주년을 맞아 남북 화합의 한마당으로 열린 남북통일축구대회를 보기 위해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에 몰린 관중은 6만5000여 명. 물론 좌석수가 그렇고 실제 서서 보는 관중들까지 합하면 이보다 훨씬 많았다. 통일축구가 열리기 5시간 전부터 이미 관중들은 경기장 스탠드를 하나씩 메우기 시작했다. 엄마 아빠와 함께 한반도기를 손에 쥐고 들어서는 어린 아이들, 같은 색 같은 모양의 조끼를 입고 삼삼오오 통일노래를 부르는 단체. 상암경기장의 뜨거운 함성과 열기는 2002년 월드컵대회를 방불케 했다. 다른 점이 있다면 '대~한 민국'이라는 응원이 아닌 '통~일 조국'과 '오! 통일 코리아' 함성이 계속해서 가슴을 뭉클하게 했다. 또 경기 시작에 앞서 스탠드를 타고 올라가던 대형 태극기는 한반도기로 바뀌었고, 애국가 대신 아리랑이 울려 퍼지며 민족의 가슴을 뜨겁게 했다. 경기도 일산에서 온 채다솜 양(초등 3년)은 학교, 집에서 말로만 듣던 통일이야기를 직접 느껴보고 싶어 이곳을 찾았다. 엄마, 아빠, 오빠와 함께 한반도기를 흔들며 그곳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하나같이 통~일 조국을 외치고 있는 것에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고 있었다. 인천여성회 회원 50여명은 아예 이곳 상암경기장을 흥겨운 축제의 장으로 분위기를 띄우고 있었다. '경의선 타고'라는 노래의 가락에 맞춰 서로 동작을 봐주며 율동을 함께 했다. "인천여성회 차원에서 자녀들을 대상으로 남북통일에 대해 배우고 서로 대화를 해오다 이번 기회에 직접 통일염원을 느껴보자는 뜻에서 참가하게 됐습니다."(인천여성회 최주영 사무처장) 그랬다. 통일축구는 남북분단, 통일에 대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고 설사 안다 해도 단편적이기 쉽다. 그래서 이곳은 좋은 '통일교육의 현장'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6시55분, 남북 선수단이 동시 입장하자 관중들은 모두 일어서 그들에게 열렬한 박수를 보냈다. 전반 34분 남한 정경호 선수가 페널티지역 우측에서 올라온 센터링을 헤딩으로 첫 골을 터뜨린데 이어, 2분 뒤 또다시 남한 김진용 선수가 골을 추가하자 경기장은 관중들이 내뿜는 열기로 가득했다. 이제는 북한 선수들을 응원하기 시작했다. 관중들은 북한 선수가 남측 페널티지역에서 결정적인 기회를 맞게 되자, 함성을 지르며 '오! 통일 코리아'를 외쳤다. 후반 들어 남한 박주영 선수의 추가골이 터지고 세 골차로 벌어지자 관중들은 '한 골 넣어! 한 골 넣어!'를 연호하며 북한 팀을 응원했다. 아쉽게 북한의 골이 터지지는 않았지만 관중들은 두 팀 모두에게 '승리의 박수'를 보냈다. 해외대표단으로 참석한 김명수(65, 미국 워싱턴 D.C)씨는 "하루 빨리 통일이 될 수 있다면 누가 이겨도 상관없다"며 "남과 북이 하나가 돼 막강한 팀이 될 때까지 두 팀 모두 응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침내 경기가 끝나고 남북 선수들이 함께 대형 한반도기를 들고 경기장을 한바퀴 돌자 관중들의 환호성은 어느 순간보다 대단했으며, 모두 일어서 목이 터져라 '통~일 조국'을 외칠 때에는 그들 마음속에 이미 '통일은 됐다'고 소리치는 것 같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