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정부지원이 본격화된다. 이해찬 국무총리는 18일 ‘2014동계올림픽유치 정부지원위원회’ 1차 회의를 열고 “유치위원회와 정부, KOC간 통합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정부역량을 총 집중해서 반드시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할 것”을 당부했다. 2014 동계올림픽 유치에 대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달 28일 유치신청서 제출을 앞두고 정부의 강한 유치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 이해찬 총리는 “88 서울올림픽, 2002 한·일 월드컵에 이어 2014년 동계올림픽을 유치할 경우,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6번째로 세계 3대 스포츠를 개최한 국가가 된다”며, “2010년 대회 유치실패를 거울삼아 새로운 각오와 자세로 정부가 앞장서서 유치활동 지원에 적극 나서 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경기장 건설·교통망 확충 등 인프라 구축 △IOC가 요구하는 정부보증 △국민적 참여분위기 확산 △부처별 소관업무에 대한 지원대책 등 지원방안을 논의 했다. 이해찬 총리는 “2007년 2월에 있을 IOC 현지실사 평가에 대비해 경기장, 주요 교통망 등 우리나라의 강한 유치의지를 평가단에게 보여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관계부처에서 이를 적극 검토·추진하라”고 지시했다. 2014년 동계올림픽은 개최 희망도시가 오는 28일까지 유치신청서를 제출하면, IOC 집행위원회가 2006년 6월에 3~5개의 후보도시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유치경쟁에 접어든다. 특히 2014년 동계올림픽은 2012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실패한 프랑스가 경쟁에 나서는 등 지난 2010년 동계올림픽 보다 더 유친전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