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충남도는 올해 수산 산업 기반 확대를 위해 47개 사업에 212억 원을 투입한다고 17일 밝혔다.
도는 ‘충남 수산업의 미래 산업화’를 올해 수산 산업 분야 비전으로 정하고, 수산 산업 신성장동력 구축 강화, 수산물 유통·가공·수출 인프라 강화, 어촌 산업 및 내수면 산업 잠재력 극대화 등 3대 전략 계획을 수립 추진한다.
지난해 투자한 101억 원(37개 사업)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예산을 들여 ‘세계인이 즐겨 먹는 충남 수산 식품’과 ‘어업인의 지역 역량 강화 및 어촌 복지 제고’를 달성하겠다는 것이 도의 목표다.
전략별 주요 사업을 보면, 우선 ‘수산 산업 신성장동력 구축 강화’ 전략은 8개 사업에 16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시행한 ‘수협 지역 혁신 역량 강화 지원’은 올해 핵심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해삼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진행하며, 귀어·귀촌 활성화 5개년 계획에 따라 올해를 귀어·귀촌 활성화 원년의 해로 만든다.
주요 사업으로는, 수산 식품 산업 거점 단지 조성 사업 지속 추진, 수산물 산지 가공 시설 지원, 간이 냉동·냉장 시설 지원, 산물 해외 시장 개척 지원 등이 있다.
수산시장 시설 개선 지원, 마른 김 가공 현대화 시설 지원, 소비지 직거래 활성화 지원, 마른 김 가공 용수 정수 시설 지원, 김 가공 6차 산업화 기반 조성 등 ‘수산물 유통·가공·수출 인프라 강화’ 전략을 위한 18개 사업에는 162억 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어촌 산업 및 내수면 산업 잠재력 극대화’ 전략으로는, 어촌 분야 일반 농산어촌 개발 사업, 촌 6차 산업화 시범 사업, 내수면 생태계 교란 어종 퇴치, 내수면 우량 치어 방류 지원, 금강 목장화, 내수면 토산 어종 생산 시설 현대화, 내수면 유해 무용 어종 퇴치, 삽교호 내수면 어업계 어장 관리선 건조, 어업 도우미 지원 등 21개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3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김종섭 도 수산산업과장은 “도는 올해 고부가가치 수산 식품 개발과 유통·마케팅 다양화, 어촌 산업 극대화 등을 중점 추진, 수산업을 충남의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만들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