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예술인 지원배제 명단인 이른바 '블랙리스트'가 광범위하게 적용돼 피해건수가 총 2670건 것으로 확인됐다.
확인된 블랙리스트 문건은 '문화·예술계 건전화로 문화 융성 기반 정비'(2013) 등 모두 12건이며, 명단은 1만1000명에 이른다고 했다.
진상조사위는 또 2016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시를 받은 출판진흥원이 심사표와 심사 회의록을 조작해 책 8종을 지원 대상에서 배제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저작권 수출을 위해 책 일부의 번역을 지원하는 '초록·샘플 번역 지원 사업'의 심사표에서 '차남들의 세계사' '삽살개가 독에 감춘 것' '텔레비전 나라의 푸푸'를 '적격'에서 '부적격'으로 바꿨으며 ▲중국 현지에서 저작권 거래를 돕는 '찾아가는 중국 도서전 사업'에서 회의록을 수정해 '느영나영 제주' '당신의 사막에도 별이 뜨기를' '마을로 간 신부' '미학 오디세이'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배제했다는 것이다.
또 예술경영지원센터는 2015년 블랙리스트에 오른 극단 마실이 뉴욕문화원 매칭 사업에 선정되자 사업 자체를 폐지했으며,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현장 예술인 교육 지원 사업'에 민족미술인협회, 한국작가회의, 우리만화연대, 서울연극협회 등이 선정되자 사업 방향을 '생계가 어려운 예술인 지원'으로 바꾼 사실도 드러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