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환경 비영리 공익 재단인 환경재단(최열 이사장)이 일본 아사히글라스재단과 함께 ‘2017 환경위기시각’을 9시 09분으로 발표했다.
환경위기시계는 시간대별로 0∼3시는 '양호', 3∼6시는 '불안', 6∼9시는 '심각', 9∼12시는 '위험' 수준을 가리키며 12시에 가까울수록 인류의 생존이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지난해는 9시 47분으로 발표됐으나 올해는 9시 9분을 기록했다. 환경에 대한 전년 대비 위기의식이 나아졌음을 의미하지만 조사를 시작한 지난 2005년과 비교했을 때 ‘위험’의 정도에 가까워지는 추이를 나타낸다.
9시 47분을 가리켰던 지난해 대비 환경위기시각은 뒤로 늦춰졌다. 이러한 결과는 정권교체로 인한 기대치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환경위기시각을 위한 설문조사가 19대 대통령 선거 직후 이뤄졌고, 새 대통령의 환경정책이 환경 문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갖게 했기 때문.
환경재단 최열 이사장은 “환경친화적 대통령의 취임으로 환경문제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진 것”이라고 해석했다.
지도자의 환경정책은 세계 환경위기시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은 올해 10시 9분을 기록, 호주(10시 18분)에 이어 가장 높은 위기 수준을 가리켰다. 대륙별로는 호주 10시 13분, 북미 10시 8분, 서유럽 9시 45분, 남미 9시 32분, 아시아 9시 25분, 아프리카 9시 12분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재단은 시민들의 환경의식 고취를 위해 2013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백화점 '스트리트 가든'에 환경위기시계 조형물을 설치했다. 현재는 위기시각을 늦추기 위한 새로운 퍼포먼스를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