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북한 핵 실험과 관련, 방사능 증거를 확보했다고 미 정부 관계자가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 증거가 초기 단계라고 말했지만 만약 확인될 경우 미국은 지난 9일 사상 최초로 핵 실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는 북한 주장을 확인할 입장에 서게 된다. 이 보고서는 북 핵실험후 초기 대기 샘플링 기밀 정보에 접근한 2명의 미국 정부 관계자들이 방사능 잔해 징후가 없어보인다고 말한 13일 오전 CNN 보도와 정반대되는 것이다. 지난 9일 사상 최초로 핵 실험을 실시했다는 북한 정부의 주장은 이 지역 무기 경쟁 우려를 팽배시키고 북한 공산주의 체제에 핵물질또는 핵기술을 가진 테러리스트 이미지를 덧붙였다. 만약 확인되면 북한 핵 실험은 지난 1988년 파키스탄 지하 핵실험이래 첫 핵 실험이 될 것이다. 미 공군은 북 핵 실험 발표 후인 10일 WC-135 피닉스기를 파견, 그 지역에서 대기 샘플을 수집했다. 미 정보 기관과 미군은 위성을 쏘아올려서 핵실험 증거를 확보할 방사능 데이터 수집을 위해 대기 샘플을 계속적으로 수집할 예정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 수록 증거를 확보하기 점점 어려워질 전망이다. 관계자들은 수집된 데이터가 북한 핵 실험관련 결정적 증거를 제공하기엔 초기 단계라고 강조했다. 방사능 데이터가 없을 가능성도 있다. 그것은 북한이 성공적으로 핵 실험 부지를 봉쇄했을 경우 또는 아주 작은 폭발에 지하 깊이에서 핵 실험을 실시했을 경우 방사능이 새나갈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하다. 미군은 비엔나, 오스트리아에서 모니터들을 통제하고 있으며 한반도 바람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컴퓨터 모델을 돌리고 있다고 CNN에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미군은 대기 상황에서 방사능 물질이 어느 방향에서 흘러올 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며 방사능 물질을 채취할 최상의 위치를 잡기 위해 센서를 가동할 수 있다. 정부 전문가들은 대기, 육지, 해상 센서에서 샘플을 계속 채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존 볼턴 유엔주재 미국 대사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는 14일 북한 핵 실험 관련 제재안에 투표하기로 합의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