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북한의 핵실험이 발표된 이후 중국과 러시아가 북핵 문제에 대해 보다 외교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지만,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에 대한 강력한 결의안을 이번주 내에 채택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존 볼튼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12일 유엔 주재 중국 대사와의 회담을 마친 후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핵실험이 진행된 이번주 안에 그에 대한 대응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무리한 요구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현재 유엔 안보리는 미국이 제출한 대북 결의안 초안의 내용을 두고 심사숙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이번 결의안 초안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염두해 대북 제재 수위를 다소 완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러시아는 모두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이란의 핵프로그램을 제재하는 결의안에도 반대표를 행사한 바 있다. 한편, 북한의 최대 동맹인 중국은 12일 '징벌이 목적이 돼서는 안된다'며, 북한에 대한 비난을 다소 완화하는 태도를 보였다. 류젠차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모든 조치의 목적은 한반도 비핵화, 평화, 안정, 그리고 6자회담 재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류젠차오 대변인의 성명은 북한이 핵실험을 발표한 다음날인 10일 왕광야 유엔 주재 중국 대사가 발표한 성명과는 대립되는 내용이었다. 당시 왕광야 대사는 '북한에 대해 징벌적인 조치를 취해야 하지만, 그 행동이 적절한 수준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다른 국가들과 함께 이에 대한 논의를 나눌 것'이라고 말했었다.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중국이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12일 오전 탕자쉬엔 국무의원을 만난 라이스 장관은 '중국은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함으로써 훨씬 더 불안한 상황을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사회가 북한의 9일 핵실험을 규탄하는데 있어 하나로 똘똘 뭉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훌륭한 결의안을 채택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