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한·중·일 3국 환경장관이 모여 날로 심각해지는 미세먼지를 논의했지만 뚜렷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는 등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국 환경장관은 24~25일 이틀 간 경기도 수원에서 열린 제19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19)에서 대기오염 등의 정책·기술 공유를 더욱 확대하자는 내용을 담은 3국 장관 공동합의문을 채택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이와 관련 "3국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에는 3국이 초미세먼지(PM2.5) 측정 결과 등이 포함돼 있으며, 모델링을 통한 각국의 오염 기여도 등도 산출한 것이 들어있다"며 "중국 측이 자국 내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오염도 역시 포함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각국이 측정한 오염도는 큰 차이가 없는데, 공동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중국이 오염의 심각성을 인정하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다만 오염 기여도 산출의 경우 입력 데이터는 동일하지만, 산출에 사용하는 모델은 각자 다른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의 김 장관과 중국의 리간제(李干杰) 환경보호부장, 일본의 나카가와 마사하루(中川雅治) 환경성 장관을 비롯해 3국의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3국은 이번 회의를 통해 국제 사회에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각국에 공동 연구를 맡을 연구기관을 선정해 이들 기관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3국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한 정책을 공유하고, 전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 추진하는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달성에 기여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또 일본에서 최근 발견된 붉은불개미 등 외래종으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으며, 해양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동북아 지역에서 환경 분야 최고위급 협력체인 한·중·일 환경 장관 회의는 1999년 한국의 제안으로 시작돼 매년 세 나라가 교대로 개최하고 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경남 창녕 우포늪 관리사무소의 이성봉 계장이 김 장관으로부터 환경상을 받았다. 이 계장은 2008년 중국으로부터 받은 따오기를 관리해 318마리로 늘리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