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주민 190만명에게 식량지원, 상주 모니터 요원 및 사무소 감축
세계식량계획(WFP)이 지난 6개월 동안 중단했던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을 재개하기로 북한 당국과 합의했다고 11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하지만, 이번에 재개되는 식량지원 규모는 이전에 비해 줄어들게 됐다. 토니 밴버리 WFP 아시아지역국장은 베이징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식량지원이 절실한 북한 주민 190만명에게 식량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과거 WFP가 북한 주민 650만명이 먹을 수 있는 식량을 지원했던 것에 비해 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WFP는 북한이 식량지원을 경제개발지원으로 전환해 줄 것을 요구하자 지난해 12월 식량지원을 중단했다. 당시 WFP는 경제개발지원으로의 전환은 너무 갑작스런 변화며, 이로 인해 북한 주민 수백만명이 기아에 시달리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밴버리 국장은 이번 식량지원 재개 합의가 지난 10일 평양에서 이뤄졌다고 밝혔다. '우리는 더 많은 주민들에게 식량을 지원하고자 한다. 하지만, 지금 당장은 불가능하다.' 밴버리 국장은 식량지원 재개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WFP가 이미 모든 이에 대한 준비를 마쳤다고 전했다. 북한의 국영농장 시스템이 수십년간 계속된 경영부실 및 소비에트연방 해체로 1990년대 중반 붕괴되며 대기근이 발생한 이후, 북한은 자국 국민들의 식량을 해외 지원에 의존해 왔다. 지금까지 대기근으로 북한 주민 2백만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WFP의 활동에 제한을 가하며, 북한에 상주하는 외국인 모니터 요원의 규모도 줄여달라고 강력히 요구해 왔다. 밴버리 국장은 10일 체결된 새로운 합의문에 따라, 향후 북한에는 외국인 모니터 요원 10명이 상주하게 되며, 사무소도 평양 본부 한 곳만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거 WFP는 북한에 총 32명의 외국인 모니터 요원을 상주시켰으며, 평양 외 5개 지역에 사무소를 열었었다. 밴버리 국장은 식량 지원국들에게 식량이 제대로 배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줄 수 있도록 모니터 요원이 활동할 수 있는 지역에서만 식량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을 비롯한 대북 식량 지원국들은 자신들이 지원한 식량이 북한 군대에 지급되거나 체제 지지자들에게 돌아가지는 않는지 감시할 수 있길 바라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