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 상가 임대료가 지난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평균 3.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인상률 17.6%에서 13.9% 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2015년 9월 젠트리피케이션(낙후된 구도심이 발전하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 방지정책 도입, 상생협약 추진 등이 약 2년만에결실을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구는 16일 ‘2017년 상반기 지속가능발전구역 내 상가임대차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속가능발전구역은 성수1가 제2동의 서울숲길, 방송대길, 상원길로서 구가 지역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했다. 이 곳 건물주 중 62%는 임대료 인상 자제 등 상생을 내용으로 임차인, 구와 협약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18일부터 7월 25일까지 지속가능발전구역 내 611개 업체 중 상반기에 계약을 갱신한 92개 업체를 대상으로 했다. 이 중 폐업한 14개를 제외한 전체 78개 중에서 임대료를 동결한 곳이 77%인 60개나 됐다.
이들의 올 상반기 임대료는 3.3㎡ 당 평균 8만9000원, 보증금은 2162만원으로 조사됐다. 인상한 18개 상가의 보증금을 제외한 인상률은 3.7%였다. 구역별로 보면 상원길이 지난해 상반기 인상률 18.2%에서 이번 상반기 1.4%로 무려 16.8%포인트 떨어졌다. 서울숲길은 19.3%에서 6.0%, 방송대길은 13.5%에서 4.6%로 각각 낮아졌다.
상생협약을 체결한 곳의 인상률은 15.6%에서 2.9%로 12.7%포인트 내렸다. 하지만 미 체결한 곳도 19.5%에서 4.5%로 15%포인트 낮아졌다. 이에 대해 구는 “지역공동체 상생을 위한 노력이 상생협약 미체결 업체에도 영향을 미쳐, 건물주와 임차인간의 상생이 장기적으로 더불어 잘 사는 길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라고 풀이했다.
또한 구는 상생협약 효과가 확인됐다고 판단, 지속가능발전구역을 확대해가기로 했다. 정원오 구청장은 이번 결과에 대해 “매우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다만 상생협약이 구속력이 없음에 따라, 이행강제성을 부여하고 인센티브, 임대료 안정, 장기계약 보장, 인프라구축 지원 등과 관련해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 특별법 제정 등 법적ㆍ제도적 장치를 중앙정부 차원에서 조속히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