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당당한 회담 당사국…관련국에 6자회담 효용성 확인시켜줘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0일(현지시각) 6자회담은 전망에 대해 “4차회담에서 4차 수정초안까지 만들어졌던 원칙 선언문을 빠르면 9월 늦어도 10월까지 채택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워싱턴 시내 포린 프레스 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측과 아주 훌륭한 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과 많은 양자회담을 가졌고 앞으로 더 많은 회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힐 차관보는 북미간 관계정상화와 관련 “북한이 핵프로그램 포기라는 근본적인 결단을 내릴 경우 북한에 허용할 계획들을 마련하려 하고 있다”며 “북한의 에너지 수요와 경제적 필요, 양자간 뿐 아니라 국제적인 정상화까지 다룰 준비가 돼있으며 테이블위에는 6자회담 맥락 뿐 아니라 양자회담에서도 논의되는 상당히 포괄적인 의제 리스트들이 올라있다”고 설명했다. 힐 차관보는 “6자회담의 전반적인 구도는 북한이 핵에너지가 필요없도록 하는 것”이라며 특히 “한국은 아주 빠른 시간내에 북한내 전력수요 상당부분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의 전기공급을 제안한 만큼 우리는 경제적 문제와 에너지 문제, 핵폐기와 핵프로그램 포기, NPT복귀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 북한의 평화적 핵에너지 사용에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북한이 핵비확산조약(NPT)에서 탈퇴, 과학적 연구목적으로 전력 생산용이라던 영변핵발전소를 몇 개월만에 무기급 플루토늄 생산에 허용했던 과거전력”을 재차 확인하며 북한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릴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힐 차관보는 6자회담에서의 한국측 대표단 활동과 관련 “한국은 전기공급 제안을 가지고 나와 제 역할을 했으며 이는 6자회담이 북한과 미국 뿐 아니라 다른 당사국에도 필요한 이유를 상기시켜 준 사례”라고 높이 평가하며 “한국 외교관이 문 밖에서 기다리던 시대는 지났다”며 회담 당사국으로서의 당당한 위치를 확인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