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국가정보원이 2012년 대통령선거 당시 이른바 ‘대선 댓글 사건’에 개입한 사실이 확인됐다. 또 2011년 국정원이 특정 정당의 선거 승리 방안을 제안하거나 야권 인사의 동향을 파악해 작성한 문건의 존재도 대부분 사실로 밝혀졌다.
적폐청산 TF가 지난 3일 저녁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들 외곽팀은 예비역 군인·회사원·주부·학생·자영업자 등 보수·친여 성향의 민간인들로 구성됐고 최대 3500개의 ID를 사용해 온라인 여론조작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 이들은 4대 포털(네이버·다음·네이트·야후)과 트위터에 친정부 성향의 글로 국정 지지여론을 확대하고, 정부 비판 글을 ‘종북세력의 국정방해’ 책동으로 규정하는 등 여론전을 펼쳤다.
원세훈 전 원장은 취임 이후 신설된 심리전단은 2009년 5월 다음 아고라 대응 외곽팀 9개팀을 만들었고 이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2011년 1월에는 알파(α)팀 등 24개의 외곽팀을 운영했다. 24개 외곽팀은 2011년 8월 아고라 담당 14개팀과 4대포털 담당 10개팀으로 재편됐다.
2011년 3월에는 트위터 외곽팀 4개가 신설됐고, 2012년 4월에는 6개팀으로 확대 운영됐다. 사이버 외곽팀은 대부분 별도직업을 가진 예비역 군인, 회사원, 주부, 학생, 자영업자 등 보수·친여 성향 소지자로 개인 시간에 활동했다.
국정원 심리전단이 직접 관리한 사이버외곽팀은 총선과 대선이 있던 2012년에 조직이 확대되면서 한 달 인건비가 2억5천만 원에서 3억 원이 사용됐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됨에 따라 이들의 활동에 국정원 3차장 산하 심리전단은 뿐 아니라 국내 정보를 담당하는 2차장 산하 인원, 예산을 담당하는 기획조정실도 관여됐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댓글부대’ 활동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 재임 시절에 진행된 것이 확인됨에 따라 국정원의 정치·선거개입에 대한 검찰수사도 새로운 계기점을 마련하게 됐다. 특히 지난 2013년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을 수사하다 밀려났던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이 이 사건을 다시 맡게 될 것으로 보여 정치적 파장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국정원 조직 확대 및 활동에 대한 최종 결재권자인 이명박 전 대통령의 관여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당시 국정원이 작성한 SNS장악 문건이 이명박 정부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실에도 보고된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국정원은 검찰에 구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관련자들을 수사의뢰할 방침이다.
아울러 적폐청산 TF는 2009년 5월부터 2012년 3월 간 원 전 원장의 ‘전부서장 회의시 지시강조 말씀’ 녹취록을 확인한 결과, 2013년 4월 36곳이 삭제된 녹취록 중 18곳을 복구했다. 이와 관련 녹취록이 삭제된 경위에 대해서도 캘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