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자 대전시당위원장인 박범계 의원(서구을)이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어린이재활병원 건립사업 추진에 대한 대전시 의지박약을 질타했다.
박 의원은 27일 지역 정치부 기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어린이재활병원 사업은 대통령이 후보시절 가장 강조한 공약”이라며 “대전시가 열의를 가지고 중앙정부를 설득하고 견인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시가 최근 중앙정부를 상대로 내년도 국비사업을 요청하면서 어린이재활병원 사업을 빠트렸다는 것이 박 의원 지적이다. 실제로 대전시 실무진은 26일 국회 의원회관을 돌며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내년도 국비사업 추진을 위한 측면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박범계 의원은 “(어린이재활병원은) 대통령이 후보시절 두 번이나 확실한 이벤트를 할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업”이라며 “대통령이 여기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있고 관심이 큰 사업이기에 후보시절 특별한 이벤트로 빼서 행사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의원은 “대전시는 (이 사업과 관련해) 중앙정부에서 체계적인 추진 장치가 확정이 안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 사업의 특수성과 시민들의 열망, 장애어린이 대상 사업이라는 측면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대전시는 박 의원과 사뭇 다른 인식을 나타냈다. 시 예산부서 관계자는 “중앙정부 정책입안이 진행 중인 사안으로, 국비를 신청하려면 정책이 구체화돼야 한다”며 “정책이 구체화되면, 그때 국비를 신청하면 된다”고 해명했다.
이후 <디트뉴스> 추가 취재에 응한 박범계 의원은 대전시 해명에 대해 “예산을 다뤄본 국회의원으로 국비신청 과정의 메커니즘을 왜 모르겠느냐”며 “현 정부는 자치단체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들어주고 있는 분위기다. 대전시 예산업무의 디테일(세부사항)을 지적한 것이 아니고, 총체적인 의지부족에 대해 섭섭함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박 의원은 대통령 선거국면이 펼쳐지기 이전인 지난해 사단법인 ‘토닥토닥’과 어린이재활병원 건립에 관한 국회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병원설립의 후견인 역할을 자임해 왔다. 선거 국면에는 선대위 차원의 관심을 촉구하고 문재인 후보와 직접 교감하며 ‘대선공약화’에 나서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들도 대전시 의지박약에 대한 박범계 의원의 지적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는 분위기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의원은 “대전시가 한 해 10여개 국비사업을 요청하는데 잘해야 절반 정도가 수용된다”며 “어린이재활병원 건립과 관련해서는 국비요청의 행정적 프로세스를 따질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를 상대로 적극적 사업추진 의지를 보이려는 노력을 했어야 맞다”고 언급했다.
뇌병변 1급 장애를 가진 김건우(10)군 부모 등 246명의 장애아동 가족은 대통령 선거 직전인 지난 4월 25일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린이재활병원 건립에 가장 적극적 의지를 밝혀온 문재인 후보에 대한 지지선언에 나선 바 있다.
김광수 시 예산담당관은 "구체적으로 사업이 진척되면 그 때 신청하면 되기 때문에 신청하지 않았다"면서 "정부의 정책입안이 진행중인 상황으로, 내년에 사업이 정해지면 그 다음해에 신청을 하면 된다"고 해명했다.
앞선 3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 후보는 대전시의회에서 가진 충청권 공약발표 기자회견에 건우군 가족을 초청하는 등 어린이재활병원 설립에 남다른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