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백범 피격 피 묻은 옷 문화재 등록
  • 특별취재부
  • 등록 2009-04-13 10:03:00

기사수정
  • 임정수립 90주년·백범 서거 60주기 기념
문화재청은 올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90주년(4.13) 및 백범 김구 선생 서거 60주기(6.26)를 맞아 선생의 유물 19점을 문화재로 등록키로 했다고 밝혔다. 백범 김구(金九, 1876.8.29~1949.6.26) 선생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으로 활동하며 우리나라의 자주독립과 통일조국 실현을 위해 헌신한 민족 지도자로, 1949년 6월 26일 서울 경교장(京橋莊)에서 손님으로 가장한 안두희의 흉탄을 맞고 서거했다.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 예고되는 유물 19점은 선생이 총격으로 서거할 당시 입고 있었던 피묻은 의복류(8종 10점), 편지나 붓글씨에 사용한 인장(3종 5과), 윤봉길 의사의 상해의거 직전 윤의사와 맞바꿔 찬 회중시계(1점), 서거 당시 책상 위에 놓여있던 유묵(3점) 등으로, 선생의 생애와 임시정부 활동과 관련해 역사적·상징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혈의(血衣)는 선생이 흉탄에 쓰러지던 순간까지 입고 있었던 의복류로 조끼 적삼, 저고리, 조끼, 개량속고의, 바지, 대님, 양말 및 개량토시이며, 혈흔(血痕)과 탄흔(彈痕)이 남아 있다.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보존처리 하면서 의복에 묻은 피 검사를 통해 선생의 혈액형이 AB형인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백범 김구 혈의 일괄(조끼적삼) 백범 김구 혈의 일괄(저고리) 백범 김구 혈의 일괄(조끼) 백범 김구 인장 金九之印 백범 김구 낙관(3과) 백범 김구 회중시계 백범 김구 유묵 韓美親善平等互助 백범 김구 유묵 愼其獨 백범 김구 유묵 思無邪 인장(印章)은 선생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으로 있을 때부터 편지, 붓글씨 등에 사용한 것들이다. 이 중에서 1940년경부터 1945년까지 사용한 ‘金九之印’ 인장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판공실장을 역임한 민필호(閔弼鎬)가 관리해 오다 후손이 독립기념관에 기증한 것이다. 낙관(落款) 세트(寬和·金九之印·白凡)는 근대기의 유명한 전각가 김태석이 1946년에 새긴 것이다. 이 인장들은 선생이 광복 후 쓴 유묵의 대부분에 사용된 것이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회중시계는 윤봉길(1908~1932) 의사가 의거(義擧)를 위해 중국 상해로 떠나는 날 아침에 김구선생의 시계와 맞바꿔 찬 것으로, 윤 의사의 유품이면서 김구 선생의 유품이기도 해 그 가치가 크며, 애국 애족을 위한 거사에서 분초를 정확히 따져 실행하기 위한 소중한 뜻이 담겨 있는 유품이다. 유묵 ‘한미친선평등호조(韓美親善平等互助)’는 선생이 1949년 1월에 당시 주한미국대사관 문정관이던 헨더슨(Gregory Henderson, 1922~1988)에게 써 준 붓글씨로 당시의 시대상황과 통일조국을 열망한 의지가 반영돼 있으며, ‘신기독’(愼其獨, 홀로 있을 때에도 삼가다)과 ‘사무사’(思無邪, 생각함에 그릇됨이 없다)는 서거 당시 책상 위에 두루마리 상태로 놓여있던 것으로 가장자리에 혈흔이 남아 있어 역사적·상징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에 엄선된 유물들은 백범김구기념관(서울 용산)과 독립기념관(충남 천안)에 소장된 것들로, 관계전문가 현지조사 및 검토회의, 문화재위원회의 검토·논의를 거쳐 선생의 유물 중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고 유일성·희귀성이 있는 것을 등록기준으로 삼았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문화재 등록예고 공고를 통해 소유자를 비롯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백범의 서거일(6월 26일)에 맞춰 문화재로 공식 등록할 계획이다.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신천지의 두 얼굴 울산 청년 크루 페스티벌의 진실 [뉴스21일간=김태인 ]자료사진 "청년"의 이름 뒤에 숨은 검은 그림자, 울산 청년 크루 페스티벌의 진실2025년 9월, 울산에서 열리는 '제3회 청년 크루 페스티벌'을 둘러싼 의혹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청년 문화를 위한 축제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특정 사이비 종교 단체의 교묘한 포교 전략과 정치권과의 불편한 유착 가능...
  2. 울산시, 하절기 이야기(스토리) 야시장 성료 [뉴스21일간=김태인 ]  지난 7월 18일부터 지난 9월 13일까지 약 두 달간 이어진 하절기 ‘울산의 밤, 이야기(스토리) 야시장’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울산시가 주최하고 울산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한 이번 야시장은 하루 평균 7,690명, 총 누적 14만 6,100명의 관람객이 방문해 울산의 여름밤을 환하게 밝혔다.  이번 하절기 이야기(스...
  3. 오치골 한가위 노래 자랑, 추석 맞이 첫 개최 [뉴스21일간=임정훈 ]울산 북구 양정동 오치골에서 추석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축제의 장이 열린다. 오치골 한가위 노래 자랑 추진위원회는 오는 10월 6일(월), 북구 양정 생활체육공원 인라인스케이트장 상설 무대에서 **‘제1회 오치골 한가위 노래 자랑’**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지역 대표 캐릭터 ‘까미·.
  4. 신간 <죽음의 쓸모> 박미라 시인이 신작 시집 『죽음의 쓸모』를 펴냈다. 달아실시선 96번으로 나왔다.  박미라 시인의 시(의 특징)를 한마디로 축약하기는 어렵지만 거칠게 축약하자면 “정밀한 묘사에서 힘을 얻는 서사, 깊은 사유를 품은 어둑한 서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이번 신작 시집 『죽음의 쓸모』의 등뼈를 이룬다. 노련한 ...
  5. 울산 동구 산업역사 사진전‘불꽃’개최 [뉴스21일간=임정훈 ]울산 동구는 한국산업단지공단 후원으로 마련한 울산 동구 산업역사 사진전 ‘불꽃’을 오는 9월 20일부터 10월 26일까지 문화공장 방어진에서 개최한다.      이번 사진전은 조선산업 역사를 개척해 온 노동자들의 땀과 열정, 치열한 삶과 고귀한 노동의 가치를 재조명하여, 산업역군으로 시대를 개척한 구민들...
  6. 형용사의 쓸모 인생을 흰 도화지에 비유하곤 한다. 무엇을 그리는가에 따라 삶이 달라진다는 것. 하지만 아름다운 그림은 ‘무엇’을 그리는가만큼이나 ‘어떻게’ 그리는지가 중요하다. 밑그림이 조금 부족해도 다채로운 색깔을 조화롭게 사용할 때 훨씬 아름답게 보인다. 인생에 무엇을 그릴지를 고민하는 것이 ‘명사’형 인생이라면 어떻게 그릴지 ..
  7. SSG의 에레디아, 최정, 한유섬, 류효승, 네 타자 연속 홈런포 홈런 군단 SSG의 강타선이 또 한 번 프로야구사에 남을 명장면을 만들어냈습니다.서막은 에레디아가 열었습니다.4회 첫 타자로 나와 NC 로건의 초구를 받아쳐 왼쪽 담장을 넘기는 홈런을 쳐냈습니다.다음 타자인 최정은 더 큰 아치를 그렸습니다.이번에도 타구가 왼쪽 방향으로 날아갔는데 관중석을 넘어가 장외 홈런이 됐습니다.이어 좌타자...
사랑더하기
sunjin
대우조선해양건설
행복이 있는
오션벨리리조트
창해에탄올
더낙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