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당시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단장이었던 이용주 의원에 대한 검찰 소환조사가 임박했다.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에 대한 '취업특혜 의혹 제보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곧 이 의원을 소환해 공명선거추진단의 부실검증 경위를 조사하고 이달 안에 수사를 끝낸다는 방침이다.
서울남부지검 공안부(강정석 부장검사) 관계자는 19일 “이준서 전 최고위원의 구속 기간이 연장되면 2차 만기가 되는 7월 마지막 날 전에 기소를 하면서 사건을 전체적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용주 의원이 소환되면 사건이 어느 정도 정리 국면에 들어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검찰은 준용씨 취업특혜 의혹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당 관계자들을 고발한 다른 두 사건을 함께 수사하고 있다.
민주당은 국민의당이 '고용정보원이 문준용식 특혜채용을 10여건 했다'고 주장한 4월 24일 기자회견과 관련해 이 의원을, '권재철 전 고용정보원장이 문재인 후보 청탁으로 감사에 압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한 5월 3일 회견에 대해 추진단 부단장이었던 김인원 변호사를 각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고발한 바 있다.
이번 수사를 매듭짓기 위해서는 추진단 단장직을 맡았던 이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검찰의 입장이다. 또 검찰은 지난 12일 구속된 이준서 전 최고위원에 대한 구속 기간 만료가 임박해 구속 영장을 재청구했다. 검찰은 앞서 김 변호사와 추진단 수석부단장 김성호 전 의원을 추가로 부를 계획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 의원의 소환 일정에 대해)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면서 "현역 국회의원이라 국회 일정도 있어 일방적으로 소환을 통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여러 부분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 의원 측과 소환조사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동안 이유미·이준서·김인원·김성호로 이어지는 추진단 보고 라인에 따라 관련 인물들을 소환해 사실관계를 파악해왔다.
검찰은 이들의 진술 내용을 토대로 이 의원을 상대로 추진단의 검증과정을 둘러싼 사실관계를 다시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또 통화 내역 분석 등을 통해 수집한 증거를 근거로 제보 입수와 기자회견에 관한 보고를 받은 바 있는지, 제보내용이 조작된 사실을 알았는지 등을 따져볼 예정이다.
아울러 검찰은 이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 결과에 따라 박지원 전 대표 등 당 지도부에 대한 조사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