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실시협약과 관련해 갈등을 빚었던 대학 본부와 학생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협의회 구성에 합의했다. 학생들은 지난 5월1일 점거를 시작한지 72일만에 점거농성을 해제하기로 했다.
서울대 본부와 총학생회 등은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관련 문제 해결과 신뢰회복을 위한 협의회' 구성을 위한 사전 합의를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이들은 협의회 구성을 위해 지난달 8일부터 전날(10일)까지 박태순 사회갈등연구소 소장의 주재하에 면담을 진행했다. 총 7차례에 걸친 면담 끝에 이들은 시흥캠 사업 관련 사업추진 경과와 주요 내용을 검토하고 논의하는 협의체 구성에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학생들의 대학본부 점거 해제와 성낙인 서울대 총장의 학내 갈등에 대한 사과, 협의회 진행 기간 동안 시흥캠퍼스 공사를 시작하지 않는다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은 상호신뢰 회복 방안도 제시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합의가 이뤄진 전날부터 한달 이내로 주 1회 이상 개최된다. 위원회는 대학본부 측 2명과 학생 대표 4명, 교수단체 대표 3~4명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서울대 총학생회는 "학생들이 제기한 시흥캠퍼스의 주요 문제에 대해 답변하지 않았던 대학본부가 당연히 취해야 할 합당한 조치"라며 "협의회에서 시흥캠퍼스와 관련된 대학의 상업화, 영리시설 유치 계획, 과도한 수익사업 의존 등의 문제를 적극 제기해 대응할 것이며 시흥캠퍼스 사업의 문제점을 입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학공공성 등 시흥캠퍼스 의제에 관해 사회적 토론이 필요한 부분이 여전히 남아있다"며 "시흥캠퍼스 문제가 비단 서울대만의 문제가 아니므로 학생들은 앞으로도 교육부 등 정부가 문제 해결을 위해 책임 있게 나설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대 총학생회는 지난달 1일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 총장 퇴진과 시흥캠퍼스 실시협약 철회를 촉구했다. 이어 오후 6시부터 열린 ‘서울대인 총궐기’에 참여한 학생 300여명이 본관 진입을 시도했고 8시 30분쯤 학생 일부가 2층 기자실 창문을 망치로 부수고 건물로 들어가 72일째 점거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XM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