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베카, 북두칠성 아래 빛으로 잇는 우정…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베트남 수교 33주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 기념 특별전 열린다. 2025년은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해다. 베트남 통일 50주년, 독립 80주년, 그리고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이 맞물리는 상징적인 해이자,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다. 이번 특별전은 역사적 해를 기념하기 위해 한국·베...
“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바른정당은 19일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전날 “북한이 핵과 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한미 군사훈련과 미군 전략자산을 축소할 수 있다”는 발언을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문 특보의 발언에 대해 “자칫 한미동맹을 무너뜨리고 북에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호영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문 특보는) 완전 비핵화가 아닌 북한이 핵 미사일 활동을 중지하면 한미 연합 군사훈련과 전략자산을 축소할 수 있다는 충격 발언을 했다"며 "더 큰 것은 문답 과정에서 이게 평소 문재인 대통령의 의중이라고 밝힌 데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미정상회담을 눈앞에 두고 이렇게 민감한 문제를 꺼내 평지풍파를 일으키는지 이해가 안 된다"며 "미국 입장에서는 (특보 발언을) 대통령 의중으로 읽을 수밖에 없다. 한미정상회담을 사전에 조율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간 특보가 문제를 일으키는 건 위험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문 대통령이 이달 말로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 야당 의원의 동행을 제안한 데 대해 "우리는 외교안보에는 초당적 협력을 한다는 원칙이지만, 그건 국내에서 의견이 하나로 모아졌을 때 지원하기 위해 협력한다는 것"이라며 "이렇게 우려스런 정상회담의 동행에 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세연 사무총장도 "(문 특보의 발언은) 문 대통령이 6·15 기념식 축사에서 말한 북한이 핵과 미사일 추가 도발을 중단하면 북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발언에 대한 상세한 해석"이라며 "사드 때문에 깨진다면 그게 무슨 동맹이냐는 특보 말에, 방어체계 배치도 못하면 그게 무슨 동맹이냐고 돌려준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90년대 초 전술핵 철수, 팀스피릿 취소는 오늘날 북핵과 미사일 대남협박으로 돌아왔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며 "이 순간 흐뭇하게 웃을 김정은을 떠올려 보라"고 강조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바른정당 간사인 정양석 의원은"문 대통령이 (정상회담의) 성과를 위해 분열된 국내 여론을 수습하고, 대통령이 야당 지도자와 만나 정상회담을 어떻게 이끌지 (논의하고) 하나가 돼 외교력에 힘을 받는 건데 야당이 어떻게 반발하든 '마이웨이'를 가겠다는 이런 대통령은 처음 본다"고 말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김영우 의원은 "북한이 가장 원하는 게 바로 평화협정이고 가장 두려워하는 게 한미군사훈련과 전략자산인데 우리가 북핵 소유를 인정하는 상황은 문 특보가 북한 김정은의 외교안보 특보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청와대는 문 특보를 외교 안보 자리에서 빨리 물러나게 하는 게 외교적 부담을 더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하태경 의원도 "문 특보는 한미정상회담에 고춧가루 그만 뿌리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며 "미국 정부도 문 특보의 발언에 대해 한국 정부의 공식 발언이 아닐 거라고 했다. 더이상 구차하게 특보 이름 달지 말고 자진 사퇴하는 게 문 대통령의 부담을 더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