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옷에 사용하는 찰갑 고구려 오녀산성에서 발굴한 것과 같아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발해시대 부장물이 다량 출토됐다.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학교는 러시아 극동국립기술대와 6월 22일부터 7월 29일까지 연해주 발해유적을 공동 발굴조사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698년에서 926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연해주 체르냐찌노 5 유적고분 51기를 대상으로 한 이번 발굴에서 조사단은 귀걸이, 옥환, 홍옥 목걸이, 청동패식, 청동방울, 청동 귀걸이 등 장신구와 철제 찰갑, 화살촉, 칼, 단검 등 무기류를 발굴했다. 특히 갑옷에 사용하는 찰갑은 고구려 오녀산성에서 출토된 것과 동일한 모양으로 고구려계로 추정됐다. 철제 찰갑은 길이 8.8cm, 폭 2.7cm이며, 가장자리를 따라 구멍을 각각 내서 다른 찰갑과 연결해서 갑옷을 만들 수 있도록 돼 있다. 조사단은 “지금까지 발견된 발해의 창과 검, 화살촉 등과 함께 발해 전사의 무장상태를 복원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조사단이 발굴한 옥환은 가장 큰 것이 지름 8.6cm로 발해인의 화려한 장식 모습도 복원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원판모양의 옥환은 돈화 육정산 발해고분에서도 출토된 바 있다. 또 조사단은 무덤에서 DNA 분석을 위한 인골 시료를 채취해 발해인의 형질인류학적 특징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