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4차 산업혁명 특별시’를 선포했다. 대전시는 8일 시청 대강당에서 민·관·산·학·연 관계자 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비전 선포식을 열었다. ‘다시 뛰는 대전경제, 우리가 함께 합니다’라는 슬로건을 채택했다. .
대전비전 선포식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을 선제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대한민국 과학수도 대전을 대한민국 실리콘밸리로 육성하겠다”며 “대전을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키우겠다”고 공약했다. 4차 산업혁명을 추진할 ‘4차 산업혁명위원회’ 설치를 준비하고 있는 새 정부 정책에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도도 깔려 있다.
이날 행사는 문 대통령의 지역 공약 동영상 상영, 권선택 시장의 비전 발표와 함께 시민들이 4차 산업혁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로봇, 드론, 3D 프린터 등 지역 혁신기업들이 참여하는 체험부스 등으로 꾸며졌다.
권 시장은 '4차 산업혁명과 대전시의 대응전략' 비전 발표를 통해 시의 신산업, 인프라, 실증화 등 3대 전략과 12개 추진과제의 방향을 설명했다.
먼저 신산업으로 스마트 융복합 산업 육성을 위해 대동·금탄, 신동·둔곡, 안산지구 등을 핵심지역으로 유전자 의약 산업, 특수영상, 국방 정보통신기술(ICT), 로봇, 첨단센서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지원하는 인프라로는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융합공동연구센터를 조성하고 연구소 기업을 지원하는 종합지원센터와 스마트 제조혁신센터, 빅데이터 서비스 지원센터 건립도 추진키로 했다.
또 실증화 단지를 조성, 연구성과물의 실제 적용과 전국 확산을 위한 4차 산업혁명 체험·전시관, 스마트 빌리지와 스마트 스트리트, 로보틱 실버타운 추진 계획도 밝혔다.
시는 대덕특구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등 우수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전·충청은 물론 대한민국을 아우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거점지역으로서 기반을 공고히 하고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그동안 관련 분야 전문가, 기업인, 학계 등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고, 앞으로 전담조직과 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추진위원회'를 구성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