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아르헨티나 등 동남아ㆍ중남미ㆍ아프리카 등에 한국문화원의 설립이 추진된다. 문화관광부는 3일 선진국 중심의 문화교류를 동남아ㆍ중남미ㆍ아프리카로 확대하고 디지털 환경에 맞는 새로운 문화홍보체계 마련을 위한 ‘국제 문화교류 중장기 정책비전’을 발표했다. 중장기 정책비전은 ‘열린 문화선진국가’구현을 장기비전으로 제시하고 △문화를 통한 평화번영 △권역별 문화협력 강화 △문화정체성 유지 △국가경쟁력 강화를 정책목표로 정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6개과제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문화교류 대상을 동북아, 동남아, 북미,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대양주 등 8개 권역별로 나눠 정치ㆍ경제적 특수성, 지리적 위치 등을 고려한 차별적인 문화교류 전략을 제시했다. 유럽ㆍ일본ㆍ프랑스 등 선진국과는 수요자 중심의 쌍방적 문화교류에, 중남미ㆍ동남아시아ㆍ아프리카ㆍ중동지역은 문화거점 확보를 통한 국가이미지제고에 중점을 둔 사업을 전개하게 된다. 또한 현재 동경ㆍLAㆍ뉴욕ㆍ파리 등 4곳에 불과한 재외문화원을 주요 거점별로 대폭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1단계로 베트남, 아르헨티나, 중동, 아프리카 등에 추가 신설하고 2단계로 동유럽, 대양주, 서유럽(영국), 러시아 등에도 문화원의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2005년 개관 예정인 북경 코리아센터나 일본문화원 신축을 계기로 문화예술, 문화산업, 관광, 체육 등 관련 업무가 원스톱으로 서비스되는 ‘코리아센터’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문화부는 현재 지나치게 전통공연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문화홍보에서 벗어나 디지털 환경에 맞춰 한국영화ㆍ문화콘텐츠ㆍ온라인 게임 등 현대적이고 역동적인 문화상징을 발굴, ‘IT 한국’에 이은 ‘콘텐츠 국가이미지’를 창출해 내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또 취약점으로 지적됐던 문화교류 글로벌 인력양성을 위해 국제기구 파견과 인적네트워크 확대, 해외문화예술인과의 정기적인 교류채널 확보, 국내외 문화예술인 인력 풀 운영 및 권역별 접근전략에 따른 지역별 ‘문화협력포럼(가칭)’을 구성ㆍ운영해 나가기로 했다. 문화부는 이러한 정책과제를 체계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국제문화교류진흥법’(가칭)을 제정하고 ‘해외문화홍보위원회’(가칭)를 운영하는 것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문화부는 “이번에 제시된 정책비전은 그동안 산발적으로 추진되어 온 국제문화교류의 정책방향과 주요 핵심사업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주요 사업의 추진 등을 통해 국가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