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명의 ...

일본군의 위안부 만행과 관련한 교과서 기술에 대해 일본정부가 과도하게 개입해선 안된다는 유엔의 보고서 초안이 나오자, 일본 정부가 반박문을 내며 강하게 반발했다.
31일 요미우리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 유엔 '표현의 자유' 특별 보고관의 보고서 초안이 공개된데 대해 "객관적인 사실에 기초하지 않았다"며 보고서 정정·삭제를 촉구하는 반론문을 유엔에 제출했다.
일본은 반론문에서 "보고서 초안에 제시된 사실의 대부분은 소문이나 억측이어서 객관적인 정보에 기초하지 않았다"며 "이런 보고서를 발표하는 것은 유엔인권이사회의 권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것"이라고 주장도 폈다.

현장검토본(왼쪽)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과 일본군이 함께 있는 사진이 게재됐지만 최종본에는 미국.중국 연합군에 발견된 위안부 피해자 사진으로 변경됐다.
이어 "교과서의 내용은 교과서 발간자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며 "정부의 방침과 정책, 정치적인 의도는 개입할 여지가 없는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실제로는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과거사 문제 등 불리한 부분의 기술에 대해서는 삭제 혹은 수정을 지시하는 등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실제 교도통신은 지난 3월 교과서 내용에 대한 정부의 간섭이 지나치다고 지적하며 "정부 견해의 논리는 (정교한 것이) 유리세공같다. 무리해서 교과서에 채워 넣으려고 하면 왜곡이 생긴다"는 한 교과서 집필자의 불만을 소개하기도 했다.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OHCHR)은 전날 데이비드 케이 유엔 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이 작성한 일본 표현의 자유 보고서 초안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초안은 "일본 정부가 교과서의 위안부 기술에 대해 과도하게 개입했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시정을 촉구하는 한편 교과서 검정방식을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자민당의 헌법개정안 초안, 특정비밀보호법, 언론의 자유 제한 등에 대해 우려하는 내용도 포함했다.
올해 초 유엔인권이사회의 이사국이 됐지만, 정작 자국의 인권 문제를 놓고 유엔과 대립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일본 정부는 유엔 고문방지위원회가 한일 위안부 합의 개정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내자 위안부 합의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라는 입장을 담은 반론문을 제출했다. 또 유엔 특별보고관이 '감시사회' 논란을 불러일으킨 테러대책법안(조직범죄처벌법 개정안)에 대해 서한을 통해 우려를 표명하자 반론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