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오지마을 등 대중교통 소외지역에 교통불편을 겪고 있는 14개 시·군 401개 마을에 운행 중인 브라보 택시가 오지마을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인 브라보 택시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노선, 정류장, 운행시각을 탄력적으로 변경해 운행하는 이용자 맞춤형 교통시스템이다.
경남발전연구원이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3개월간 올해 처음 운영을 시작한 110개 마을 중 51개 마을 761명을 대상으로 ‘브라보 택시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용자의 97.2%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이유로는 원하는 시간에 이용가능한 점(51.3%), 버스정류장까지 갈 필요가 없는 점(26.1%) 등을 꼽았다. 거동이 불편한 70대 이상의 이용률(72.6%)이 가장 높았고, 이용목적은 병원진료(74.7%), 시장(17.4%) 등 순이었다.
이용자 중에는 거동이 힘든 70대 이상 주민 비율이 72.6%로 가장 높았다.
병원진료(74.7%)와 시장 방문(17.4%)이 주 이용목적으로 나타났고, 통근·통학이나 농업·금융업무 등에도 브라보 택시를 이용했다.
브라보 택시 시행 전·후를 비교해 월 1.49회 외출횟수가 증가했고, 외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8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1월 처음 시행한 후 지난 4월말까지 총 운행 횟수는 4만6349회였으며, 누적인원 9만2505명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교통오지 마을의 주민들은 몸이 아파도 병원에 가기 어렵고 생필품 구입을 위해 장보러 가는 것도 마음대로 할 수 없어 브라보 택시가 대중교통 소외지역의 맞춤형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도 브라보 택시 이용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운행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교통 오지 주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며 “올해 하반기 대중교통 소외지역을 추가 발굴해 브라보 택시를 확대 시행, 브라보 택시가 교통오지 지역의 대체교통수단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일종의 콜택시 형태로 운영되는 브라보 택시는 주민이 원하는 시간에 호출하면 시내버스 요금 수준인 1200원(4명 승차시 1인당 300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