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유전자 의약산업 허브 도시 조성에 본격 나선다.
대전시는 첫 사업으로 '스마트 유전자 의약 기반기술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이 사업에 2021년까지 총 158억원(2017년 31억원, 2018년 이후 127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주요 플랫폼으로 유전자 의약 치료제 개발, 공정기술개발, 비임상실험 등 유전자치료 연구개발 기반 구축을 위해 충남대 신약전문대학원에 '유전자 의약 오픈이노베이션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대전테크노파크(TP) 바이오센터에는 유전자 의약 임상연구 시료 생산을 위한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GMP) 장비 및 기업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유전자 의약 산업 육성 허브 도시 조성 초석을 다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유전자 의약 기반기술 플랫폼이 구축되면 관련 기업 간 상호협력 활성화 등 유전자 의약 연구개발 특화 클러스터가 자연스럽게 조성될 것"이라며 "국내외 유전자 의약시장 선점과 지역대학·출연연의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 유발효과, 고급 일자리 창출 등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정홍 시 산업정책과장은 "유전자 의약은 지난해 규제프리존 지역 전략산업으로 유전자진단·분석·재조합·치료제 등 4개 분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특별법 제정 지연으로 답보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이번 사업 추진은 유전자 의약 산업을 선점 육성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