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방어진에서 다-해(海)!’ 방어진회축제 성황리에 마쳐
[뉴스21일간=임정훈]울산동구 방어진회축제추진위원회(위원장 박문옥)는 11월 15일 오후 2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방어진활어센터 일원에서 ‘2025 방어진에서 다-해(海)’ 방어진회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이번 축제에는 방어진활어센터 내 횟집과 해산물집 등 50여 개 점포와 회초장집 10개소, 건어물점, 카페 등 방어진항 일대 가게 등이 참...
미국 렉스 틸러슨 국무부 장관이 오는 17일 취임 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고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 조치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대북 정책 및 사드 갈등 봉합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대변인대행은 7일(현지시간) 성명에서 “틸러슨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15일)과 한국(17일), 중국(18일)을 차례로 방문한다”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안보적 이해관계를 확대·제고하겠다는 공약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틸러슨 장관은 15일 동북아 순방의 첫 방문지인 일본을 찾아 미·일 동맹 강화 기조를 재확인하고 북한 핵·미사일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17일 한국을 방문해 다음날까지 약 24시간을 머문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틸러슨 장관과 외교장관 회담 및 만찬을 함께할 계획이다. 지난달 독일 본에서 상견례를 한 뒤 한 달 만에 재회하는 양 장관은 앞서 합의한 북한 문제에 대한 ‘양국 공동의 접근 방안’을 더욱 구체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대북 선제타격론, 전술핵 재배치, 세컨더리 보이콧(2차 제재) 등 각종 대북 정책 대안들이 무분별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 미국 측의 새 대북 정책에 대한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날지가 관심사다.
특히 지난 6일 시작된 사드의 한반도 전개로 중국의 전방위적 보복 조치가 우려되는 가운데 한·미 양국이 효과적인 공동의 대응 방안을 도출할지 주목된다. 틸러슨 장관은 18일 방한 일정을 마치는 대로 곧장 중국을 방문한다. 이에 북핵 문제에 대한 한·미·일의 논의 내용과 사드 보복 조치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 등이 미국을 통해 자연스럽게 중국 측에 전달될 것으로 전망된다.
틸러슨 장관은 방중 기간 동안 왕이 외교부장을 만나 미·중 정상회담 개최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방한은 정말 시의적절한 시점에 이뤄지게 됐다”면서 “북한 문제, 사드 배치, 중국의 반발 등 현안이 모두 심도 있게 다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날 북한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언론성명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안보리는 성명에서 “북한의 상황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면서 추가 중대 조치를 취하자는 데 이사국이 동의했다”고 강조했다. 안보리는 지난달 12일 북한이 중거리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을 발사한 뒤에도 언론성명을 채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