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인도문서 서명…일단 서울 이송후 북으로 보내
북관대첩비가 일본에 의해 강탈된 지 100년만에 드디어 한국으로 돌아온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10일 “그동안 북관대첩비를 보관해오던 야스쿠니 신사와 일본 외무성을 상대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한 결과, 오는 12일 북관대첩비 인도문서에 서명식을 갖고 비의 철거를 위한 기술적 작업을 시작해 이달 26일전에 철거와 운송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북관대첩비를 갖고 있는 야스쿠니 신사측은 지난 3일 연례 이사회를 개최해 비를 우리 정부에 반환키로 최종 결정했으며, 작업상 편의를 위해 비 주변 수목을 미리 제거하는 등 협조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 정부가 구성한 작업반이 야스쿠니 신사내에서 북관대첩비 철거를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비의 철거작업이 끝나는대로 야스쿠니 신사내에서 우리 정부 및 민간단체 주최로 고유제를 갖고 서울로 이송해 보존처리를 거쳐 일반인에게 공개한 뒤 원래 비가 있던 북한으로 보낼 예정이다. 북관대첩비는 1592년 임진왜란 당시 함경북도 북평사였던 정문부 장군이 의병을 규합, 왜군을 격퇴한 전공을 기념해 숙종 34년(1707년) 함경북도 길주군에 세운 전승비로 1905년 러일전쟁 때 일본군이 강제로 빼앗아 야스쿠니 신사에 보관해 왔었다. 지난 1978년 재일사학자 최서면 박사가 야스쿠니 신사에 있던 북관대첩비를 발견한 이후 우리 정부는 계속 반환을 요구해 왔으나 일본측은 "남북 분단에 따라 반환받을 주체가 불분명하다"며 반환에 난색을 표시해 왔다“ 그러나 지난 6월 23일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을 통해 북관대첩비 반환 관련 남북이 반환 절차 등에 합의함에 따라 이번에 반환이 이뤄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