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광역시(시장 권선택)는 9일 오전 10시 대전청소년위캔센터와 오후 2시 대전평생교육진흥원에서 각각 지역주민과 상인, 원도심 활동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근대문화예술특구 계획(안)에 주민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ㅇ 지난 1월부터 대전시는 동․중구와 공동으로 원도심 지역의 자산인 근대건축물과 문화예술자원에 기반한 근대문화예술특구 지정을 준비하여 왔으며 다양한 계층의 자문과 중소기업청의 컨설팅을 통해 계획(안)을 마련했다.
□ 공청회는 근대문화예술특구 계획(안)에 대한 설명과 전문가들의 토론회를 거친 후 참석한 주민들의 의견을 듣는 시간으로 진행되었다.
ㅇ 토론자로 참석한 대전대학교 김병윤 교수는“지금이라도 특구 지정을 통해 근대건축유산을 지켜나가려는 것을 환영한다”며“이 사업을 계기로 시민참여와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ㅇ 정재춘 대전예총 사무처장 역시“특구지정 환영의 뜻과 함께 문화예술단체가 자리잡은 대전예술가의 집과 서대전역 광장을 특구범위에 포함하여 지역할성화에 기여 할수 있도록 해달라”는 제안과 함께“특구지정 후 문화예술의 변화된 모습이 구체적으로 제시가 되었으면 좋겠다”말했다
ㅇ 또한, 박은숙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는“특구 범위설정이 가장 중요하다”며“소제동 관사촌과 서대전역까지 범위를 확대해 지정해 달라”는 제안과 더불어“계획(안)에 핵심사업이 잘 드러나 있지 않고 지속성 있는 특구 운영을 위한 방안도 함께 고민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토론회에 참석한 동구지역 주민은 등록된 근대건축물 외에서 개인소유의 숨어있는 건축물 보존 대책 마련과 대전역 주변의 쪽방촌과 주물공장거리를 스토리화하는 방안, 다양성 있는 인포센터 설치 확대와 체계적인 홍보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ㅇ 또, 중구지역 주민은 인적자원을 활용하는 사업의 구체화와 대전근대역사관 설립을 통한 플랫폼 역할 강화, 근대건축물에 대한 시의 적극적인 매입, 민간주도의 사업과 지원계획이 포함 되어야 한다는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 대전시 임묵 도시재생본부장은“제시된 다양한 의견들은 최종 검토하여 반영토록 할 것”이며“성공적인 특구 운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주도적인 관심과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대전시는 내년에 시와 구의회 의견을 청취한 후 2월 중에 중소 기업청에 특구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ㅇ 특구 계획(안)은 대전시 홈페이지(www.daejeon.go.kr / 행정정보 → 시정자료실 → 공고)에서 볼 수 있으며 오는 14일까지 의견을 도시재생과 특구담당(042-270-6301)에게 제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