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의 구호품 트럭 약탈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
                                미군이 현지시간 1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의 구호품 트럭 약탈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다.미군의 중동 내 군사작전을 총괄 지휘하는 중부사령부(CENTCOM)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영상은 전날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미국 공군이 보유한 MQ-9 리퍼 무인기(드론)로 촬영한 것.이 영상을 보면 ...
                            
                        
                                보령축제관광재단, 국내 최대 마이스 산업 전문 전시회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 참가
                                보령축제관광재단은 2025년 11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내 최대 규모 마이스 산업 전문 전시회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에 참가하여 홍보마케팅을 추진했다.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 2025’는 전시부스 홍보, 비즈니스 상담, 컨퍼런스 및 설명회, 네트워킹 리셉션, 팸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
                            
                        
▲   시리아 두 번째 도시를 다시 점령하기 위해 정부군 세력이 크라알자발 지구를 통해 진격하고 있다 .사진은 5일(현지시간) 알레포 동부 알샤르 지역의 파괴된 건물 모습. GEORGE OURFALIAN / AFP [제공자ⓒ 뉴스21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시리아 알레포에서 계속되는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에 '7일간 휴전'을 규정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의 결의안이 부결됐다.
유엔 안보리는 5일(현지시간) 회의를 열고 이집트, 뉴질랜드, 스페인이 발의한 알레포 7일 휴전 결의안을 표결했으나, 중국과 러시아, 베네수엘라의 반대로 부결됐다. 앙골라는 기권했으며 찬성표를 던진 나라는 11개국이다.
2011년 3월 분쟁이 시작된 이래 러시아는 시리아에 대한 협상 결의안을 6번째로 반대하게 됐다. 중국도 5차례 반대했다.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과 긴밀한 동맹국인 러시아는 몇 주간의 협상 내용을 담은 결의안 본문에 대해 강한 유보를 표명했다.
러시아는 이번 결의안 표결을 제네바에서 미국과 러시아 외교관들이 시리아 사태를 후속 논의하는 6일 이후로 연기할 것을 주장했으나 프랑스, 미국, 영국이 미뤄부치기로 결정했다.
러시아는 제네바 회담에서 모든 반군 전투기가 정권 포위 공격으로 동부 알레포에서 철수할 계획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으나 반군들은 이 계획에 대해 거부했다.
러시아의 위같은 주장에 대해 미셸 시손 UN 주재 미국 부대사는 러시아가 휴전을 막기위한 "구실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시손 부대사는 "알레포에서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러시아와 양자 협상을 지속할 것이지만, 러시아는 군사 이익 유지를 원하기 때문에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