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 9월 제주에서 열린 제15차 세계한상대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주발전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204억 8천3백만 원의 경제유발효과와 201명의 고용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한상대회는 전 세계 한인 동포 기업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역의 수출증진 및 투자를 유도하여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재외 동포 경제인 대회로 국내외 45개국 3,4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주에서 개최된 바 있다.
성과 및 경제적 효과
소비지출로 인한 생산유발 효과는 111억 6천4백만 원, 부가가치유발 효과는 48억 8천6백만 원, 고용유발 효과는 157명으로 분석되었다.
* 소비지출은 참가자 숙박, 음식료품, 물품구입 등 경비
* 1인당 소비지출은 국내참가자 151만 9천 원, 국외참가자 253만 4천 원
운영비 지출로 인한 생산유발 효과 29억 6천5백만 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14억 6천8백만 원, 고용유발 효과 44명으로 집계되었다.
* 운영비 지출은 프로그램 진행 운영비, 홍보비, 만찬, 차량임차, 기념품 등
* 운영비 지출총액 17억 6천5백만 원
또한 간접효과로서 비즈니스 상담 및 도내 기업체와의 인적·물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의 기회를 가졌으며, 도내 50여개 기업이 참여한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개최하여 5건에 230만 달러 계약이 성사되었다.
대회기간 동안 기업전시회를 포함해 1:1 비즈니스 미팅으로 총 6,995건 118백만 달러의 상담을 벌이는 등 역대 최고의 비즈니스 성과를 거두었다.
평가 및 향후 계획
이번 대회는 ‘08년 이후 8년 만에 다시 개최한 것으로 리딩 CEO 포럼, 업종별 비즈니스네트워킹 세미나, 1:1비즈니스 미팅, 기업전시회, 해외취업프로그램, 지역세션(아시아/아프리카·중동), 산업세션(신기술/식품가공), 특별세션(중국 동북3성)등 다양한 비즈니스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한상 및 국내참가자들의 호응이 좋은 것으로 평가받았다.
향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회 참가자들이 선호하고 실익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고, 동 행사의 주관기관인 재외동포재단이 내년 7월 제주이전을 계기로 제주에서 세계한상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