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로 이현주 홍세희 김난영 윤다빈 기자 한주홍 인턴기자 = 여야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 국감에서 각각 송민순 회고록 논란과 미르·K스포츠재단 박근혜 정권 실세 개입 의혹을 둘러싸고 난타전을 벌였다.
여당은 2007년 북한 유엔인권결의안 기권 결정 과정을 놓고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공격한 반면 야당은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의혹에 관해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을 추궁했다.
김정재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운영위 국감에서 "2007년 노무현 정부가 북한 유엔인권결의안 표결에서 기권을 했다. 북한의 결재를 받고 결정했다는 내용이 이(송민순 회고록에는) 안에 들어있다"며 "모든 정황을 보면 (문 전 대표 등이) 북에 사전결재를 받고 20일 기권을 결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만희 의원은 "2007년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문 대표가 현재도 야당의 유력 대통령 후보다. 이 문제는 과거 사항이 아니다"라며 "앞으로 이 나라의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 사람이 갖는 북한에 대한 생각, 안보 철학이 뭔지 국민들이 알아야 하고 그것을 알게 하는 의무도 있다. 지금이라도 문 대표는 생각나지 않는다고 말하지 말고 본인 스스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과거처럼 지금도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하는지, 아니면 연방제 통일에 지금도 찬성하는지 명확히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공격했다
강석진 의원은 "문 대표는 국가 지도자가 되려는 분이라 국민들에 대한 책임이 일반인보다 훨씬 크다. 무게감이 있어야 하는데 이 일로 국민들이 안보 불안을 느끼고 상당히 상실감을 느끼고 의심을 갖는다"며 "기억이 없다고 할 게 아니고 회의참석자들과 만나서 기억을 더듬고 통화해 사실을 규명하라"고 압박했다.
백혜련 민주당 의원은 "박 대통령의 어제 발언을 보고 뜨악했다. 의혹이 밝혀진 것이 많은데도 여전히 최순실을 보호하려 하는 것 아닌가 하는 느낌"이라며 "이 사건의 핵심은 개인의 자금 유용이 아니라 민간인 최순실이 청와대와 문화부, 기재부, 농림부, 전경련, 대기업, 이화여대를 움직인 것이고 바로 그 뒤엔 청와대가 있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한정 의원은 "과연 대통령과 최순실 씨의 관계가 뭐냐. 혼자서 해 먹었는지 대통령이 뒤에서 밀어줬는지를 국민이 궁금해 한다"며 "우병우 민정수석은 이 부분에 대해서 엄단할 의지가 있다면 어떻게 할지 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소속 홍의락 의원은 "전경련에서 재단을 만들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었는데 (이 과정에서) 청와대 실세가 움직였나 하는 의혹이 계속 생기는 것"이라며 "이 부분은 비서실 전체에서 능동적으로 선제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이런 일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왜 그런가 생각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