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현지시간) 유엔 총회 제3위원회에서 처리될 예정이었던 대북인권결의안에 대한 투표가 하루 연기됐다. 유엔 총회 제3위원회는 애초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후(한국시각 17일 오전) 대북인권결의안을 처리할 예정이었으나 대북인권결의안 상정 직전 오후 6시까지인 회의시간이 끝나 17일 오전 10시(현지시간) 나머지 안건들을 처리하기로 했다. 이날 총회 제3위원회 회의에 앞서 지난달 북한인권보고서를 발표한 노벨평화상 수상자 엘리 위젤과 바츨라프 하벨 전 체코 대통령, 쉘 마그네 본데빅 전 노르웨이 총리는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인권탄압에 대한 행동을 재차 촉구했다. 하벨 전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북한 핵문제만 해결되면 모든 것이 다 해결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서 북한 인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유엔이 존재하는 중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인 만큼 유엔이 북한인권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데빅 전 총리는 한국이 북한 인권결의안에 찬성키로 결정한 것에 대해 매우 중요한 현상변화라고 평가하면서 심각한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안보리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유엔 인권단체의 자유로운 북한 접근과 조사, 정치범 석방, 북한 인권특별보고관의 자유로운 방북, 유엔 사무총장의 개입 등을 관철시키기 위해 안보리가 나서야 한다면서 필요할 경우 안보리 차원의 대북제재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제3위원회가 열린 1회의장에는 북한대표부에서 김창국 차석대사 등 3명이 나타나 자리를 지켰으며 한국 대표부에서는 최영진 대사와 강경화 국장 등이 회의를 지켜봤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