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세월호 피해구제 특별법'에 따른 배·보상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총 841건이 접수(7.7 火 18시 기준)되었으며, 인적 배상 신청건이 총 100건을 넘어섰다.
이는 인적 피해자 461명의 약 22%에 해당하는 것으로, 희생자는 304명 중 86명이 신청하여 약 30%가 신청하였으며, 생존자는 157명 중 16명(10%)이 신청*하였다. 이 밖에 화물 배상과 어업인 손실보상 신청은 각각 73%, 58%가 수준이며, 자세한 신청 현황은 아래와 같다.
먼저, 희생자의 경우 전체 신청자 86명 중 단원고 학생 희생자는 65명, 일반인 희생자는 21명이며, 신청 초기(4~5월)에는 위로지원금 규모 미확정과 4·16가족협의회의 배상신청 거부(진상조사 우선) 등에 따라 신청 건수가 28건에 그쳤으나, 위로지원금 규모가 결정*된 6월 중순 이후에 총 49건이 접수(6월 전체 : 56건)되는 등 신청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 희생자의 경우 6.25일 이후 15명이 신청하는 등 신청이 본격화되었다.
* 희생자 기준 약 3억원 : 국비 5천만원(6.12 배·보상심의委 의결), 국민성금 2.5억원(6.5 사회복지공동모금회, 6.12 대한적십자사, 6.23 전국재해구호협회 등)
이같은 배상 신청 증가 추세와 상담건수* 추이, 법상 신청 기한이 9.28일까지인 점 등을 감안할 때, 앞으로 배상 신청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일반인 희생자의 경우에는 8월말까지 대부분 신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 6.15일 이후 113명(122건) 상담 / 4.1일 이후 전체 상담실적 : 244명 395건
생존자는 전체 157명 중 16명이 신청하여 신청률이 높지 않은 상황이나, 이는 후유장해 진단서와 향후치료비 추정서 발급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며, 현재 100여명 이상*이 지정된 병원에서 진단서 발급 등 신청을 준비중에 있어 7~8월 사이에 많은 신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단원고 학생(전체 75명) : 상당수가 고대안산병원 등에서 진단서 발급 등 준비중일반인(전체 82명) : 제주대학병원 15명, 인천시 의료원 5명 등 약 68명 준비중
배상금과 별도로 지급되는 위로지원금(국비)은 총 98명(희생83, 생존15)이 신청하였으며, 위로지원금이 결정된 6월 중순 이후에는 배상금과 위로지원금을 동시에 신청하고 있다.
한편, 화물 배상은 전체 328건 중 240건이 접수(73%)되어 신청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류오염 배상(23%)과 어업인 손실보상(58%)은 어업인들의 어업활동 종사(5~7월, 톳·김 등) 등으로 일부 신청이 지연되고 있으나, 7월 중순 이후에는 신청이 다수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배·보상 신청에 대한 심의는 총 224건(143억원)*이 이루어졌으며, 지급된 배·보상금은 126건, 약 98억원이다. 특히, 인적 배상의 경우 총 19건에 71억원이 지급(위로지원금 6억원 포함시 77억원)되어 배상금 지급 절차는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