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가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인 지역행복생활권의 원활한 추진에 힘을 쏟고 있다.
이와 관련, 도는 12일 도청 제1회의실에서 '015년도 제1차 경상북도 생활권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2015년 생활권사업 주요정책 설명과 함께 사업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2015년도 도내 생활권 협의회 및 연계협력 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토의했다.
이희열 균형발전사업단장이 2015년도 경상북도 생활권사업 신청현황을 보고하고, 국비확보에 다각적으로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고, 정착단계로 접어들고 있는 생활권의 활성화 방안과 생활권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토의가 이뤄졌다.
지난 1~2월초 신청한 주요 생활권 사업인 선도사업 및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은 중앙평가를 통해 3월경 확정예정이며, 연계사업 및 단독사업은 7월경 확정예정이다.
선도사업은 지역발전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공모사업으로 지역행복생활권을 형성한 자치단체간 협력사업이다.
생활권 주민의 삶의 질 및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주민 밀착형 사업으로 주민복리 증진, 주민불편 해소 및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5대 중점분야인 기피시설 해소, 낙후지역 교육 및 의료질 개선, 주민안전, 일자리창출, 생활인프라를 지원한다.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은 지역발전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 그리고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사업이다.
주민들의 기본적인 삶의질·안전 등이 문제되는 농어촌 및 도시의 취약지역의 생활여건 개선을 위해 안전확보, 생활·위생 인프라, 일자리·문화, 집수리지원, 주민역량강화 등을 지원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난해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에서 전국 최다선정이라는 성과를 거둔 만큼 올해도 생활권사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사업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 밝혔다.
아울러 "생활권 단위의 협의체 및 연계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는 올해는 도내 생활권단위와 경북도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개발과 다함께 잘사는 경북 만들기에 앞장설 것"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