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명 대기업 총수가 언급한 가상자산이라며, 1,000% 수익을 보장한다고 돼 있다.
그런데 금융감독원의 조사 결과, 투자금만 가로챈 거짓 정보인 거로 판명됐다.
유튜브에 AI를 악용한 허위·과장 광고 등이 늘면서 이용자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건 유튜브가 부가통신사업자로 등록돼 있기 때문인데, 이렇게 되면 방송사 등이 따라야 하는 광고 심의 규정도 피할 수 있다.
그나마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위법한 정보만 접속차단 등을 요구할 수 있다지만, 강제성은 없다.
특히, 유튜브 광고는 인터넷 주소가 특정되지 않는 특성 탓에 즉각적인 조치도 쉽지 않다.
유튜브의 모회사인 구글은 자체 가이드라인에 맞게 광고 내용을 사전에 심의를 한다는 입장.
이에 따라 미디어 융합 시대에 걸맞게 매체별 칸막이를 없애고, 대중적 영향력에 기반한 실질적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