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후 4주 이내에 중추신경계가 형성되나 모체의 엽산 부족시 신경관 결손으로 유사산 또는 선천성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엽산 섭취시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임산부의 태아의 건강증진 도모를 위해 계획 임신 및 건강한 아기 출산을 위해 임산부에게 철원군보건소에서 임신일로부터 3개월까지 엽산제를 무료로 지원합니다.
아래의 사항을 확인하시고 지원 받으시길 바랍니다.
_?xml_: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_?xml_: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지원대상 : 보건소 등록 임산부
지원내용 : 임신일로부터 3개월까지 엽산제 지원
(1인 1개월분 기준 최대 3개월분)
지원방법 : 보건소 등록 임산부에게 임신일로부터 3개월까지 엽산제 지원
(1인 1개월분 기준 3개월분)
첨부서류 : 산모수첩, 주소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이나 주민등록증
기타 문의사항은 철원군보건소 지역보건부서 ☎450-5124로 문의바랍니다.
엽산이란?
- 비타민B9으로 적혈구와 DNA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
- 적혈구뿐만 아니라 신경계통의 화학성분인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라토닌을 생산하는데 필요
임신기 엽산섭취의 중요성
- 수정 후 4주 이내에 중추신경계가 형성되나 모체의 엽산 부족시 신경관 결손으로 유·사산 또는 선천성기형아를 출생
- 임신 계획시 3개월 전부터 임신 3개월까지 엽산 섭취시 효과적으로 예방 가능
※ 임신 전 엽산제 복용시 신경관 결손증 빈도 85% 감소 보고
- 신경관 결손 태아를 임신한 경험이 있는 여성의 경우 더 많은 섭취량 요구
임신기 엽산 권장량
- 미국질명관리센터와 미국산부인과학회는 임신 1개월 전부터 임신 초기 3개월까지 1일 0.4mg
엽산제 복용 권장
- 한국영양학회의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는 임신부의 엽산 권장 섭취량은 0.6mg으로
정하고 있음
엽산 부족시 발생할 수 있는 기형 유형
- 신경관 결손증, 뇌 이상 및 척추기형, 언청이, 심장기형 등
엽산이 함유된 식품
- 브로콜리, 시금치, 갓 등의 녹색채소, 양배추, 버섯 등
- 콩류, 호두, 달걀, 참치, 간, 오렌지 등
- 아침식사용 시리얼, 빵, 파스타 등
※ 수용성 비타민으로 음식 조리시 열을 지나치게 가하지 않도록 하며 가급적 생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그냥 먹거나 데쳐 먹도록 함.
외국사례
- 영국 식품기준청(FSA) : 기형아 출생률 감소를 위해 식품(밀가루, 빵)에 엽산의 의무적 첨가
법안 추진
- 미국 질병관리센터(CDC) : 식품에 엽산 첨가 시행 후 신경관 결손 출생아 26%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