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자치구가 2014. 1. 21(화) 11시, 서울시 신청사 6층에서 출범식을 갖고 ‘서울특별시 시·구 감사협의회’를 출범시켰다.
감사협의회는 서울시 감사관을 대표(간사 : 도봉구 감사담당관 외1)로 하고 25개 자치구 자체감사기구의 장을 회원으로 구성되었다.
시·구 감사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그동안 자치구의 자체감사에만 의존하기엔 한계가 있었던 취약분야를 합동 점검하여 감사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각 기관의 감사담당자 공동 연수프로그램 운영, 감사 우수사례 공유 및 공동 워크숍을 실시하는 등 자체 감사기구 직원들의 전문성과 역량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와 자치구의 자체감사는 각각의 소관시설·사무에 대해서 제각기 이루어져 왔지만 앞으로는 시설안전, 복지분야 등 시민 생활과 밀접히 관련된 분야에 대해서는 감사 협업을 하게 된다.
예컨대 자치구 고유 사무인 어린이집 지원 등 각종 보조금 사업의 경우 자치구에 감사 권한이 있지만 현장의 저항과 인력의 한계 등으로 부당수령 등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시·구 감사협의회’를 통해 각 기관의 감사방향과 전략을 공유하고 비리 취약분야의 공동 의제를 발굴하는 한편,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감사분야에서의 공동협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특별시 시·구 감사협의회’는 지난해 연말 개최된 서울시-자치구 감사관계관 워크숍에서 시정의 주요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감사분야의 공동협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추진됐다.
첫 번째 공동 협력 사업은 지하철역사와 복지시설 총 6,221개를 중심으로 한 ‘다중이용시설의 안전관리 실태 합동점검’이다.
다중이용시설은 화재 등 재난사고 발생 시 대형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안전관리실태 전반을 점검해 재난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이자는데 인식을 같이 하기로 따른 것이다.
특히 이용자수가 많은 지하철 역사와 최근 화재가 발생한 곳, 복지 시설 등 특정 관리대상시설물과 노후 건축물을 우선 선정했으며 서울시와 자치구 감사요원들로 구성된 61명의 합동감사반이 서울시 전역을 4~5개 권역으로 나누어 2월 중순 13일간(2.12~2.28) 합동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에는 보조금, 민간위탁사업 등 시민·지역사회의 복지와 밀착돼 있는 분야 중 시민들의 신뢰도가 낮은 분야에 대한 합동 감사도 검토할 계획이다.
송병춘 서울시 감사관은 “감사 분야의 시-구 간 행정칸막이를 없애고 유기적으로 협력해 서울시 전 기관의 감사효율성을 높이고 부패근절의지를 확고히 해 나가겠다”며 “특히 올해부터 사전 예방적 일상감사를 본격화한데 이어 시·구 감사협의회 출범으로 비리 취약분야나 사각지대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