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연휴 마지막날인 10일 발생한 국보 1호 숭례문 전소 사건은 문화재 관리당국인 문화재청과 화재진압을 담당하는 소방당국간 손발이 맞지 않는 안일한 대처가 화를 키운 것으로 알려졌다.숭례문이 국보 1호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아 일반 화재에 대처하는 방식의 진압법을 사용할 경우 문화재 훼손이 우려된다는 점을 의식, 화재 초기 지나치게 신중하게 대처하는 바람에 결국 숭례문을 모두 태우게 됐다는 지적이다.여기에 문화재청은 대전에 소재해있는데다 이번 화재를 전담한 서울소방본부는 서울에 위치해 있다는 물리적 어려움 때문에 두 기관간 긴밀한 협조가 이뤄지지 못한 점도 대형 참사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소방당국의 한 관계자는 11일 “숭례문에 화재가 발생한 10일 밤 서울소방본부측이 대전 문화재청과 연락해 화재 진압방식을 논의했으나 이 과정에서 문화재청이 ‘문화재가 손실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불을 꺼달라’고 당부하는 바람에 초기에 적극적인 진화에 나서지 못했다”고 말했다.여기에 10일 오후 8시50분께 숭례문 화재가 발생한 뒤 40여분만에 ‘훈소상태’(연기만 나는 상태)가 되자 진화에 나선 소방관들이 ‘불이 잡힌’ 것으로 오판한 것도 화재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아울러 주요 구조물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필수 도구인 ‘구조물 설계도’를 소방당국이 초기에 확보하지 못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대목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