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 12월 ‘생태계 위해 외래동물’로 지정된 붉은귀거북 관리대책을 놓고 환경부가 고심하고 있다.
아열대성 동물임에도 동면까지 하고 수명이 20년이나 되는 것은 물론 잡식성에다 천적도 없어 먹이사슬 제일 윗선에서 하천과 연못의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지만 마땅한 퇴치법이 없기 때문이다.
지난 5일 환경부에 따르면 황소개구리가 식용으로 이용되면서 그 수가 다소 감소했던 것과 달리 붉은귀거북은 수요처도 마땅치 않다.
국내외의 약용자원을 연구하는 대한본초학회에 의뢰해 임상실험 등의 방법으로 한약재 이용 가능성을 조사할 계획이지만 거북이나 자라 등껍질처럼 효능이 있을지는 미지수다.
또한, 맹금류 먹이로 동물원에 제공하는 방법도 거론되고 있지만 거북을 신성한 동물로 여기는 불교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킬지도 몰라 마음대로 결정하기도 힘들다.
한편, 무조건적인 포획이 생명주의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도 불러일으킬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인근 도심공원을 수집장소로 지원, 관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그렇지만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 최선의 대책이 나올 때까지 무작정 손을 놓고 있을 수만도 없는 실정이다.
환경부는 국내반입이 시작된 70년대 후반부터 수입이 법적으로 금지된 재작년 말까지 국내에 들어온 붉은귀거북은 공식적으로 650만 마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지만 중국의 보따리 장수 등이 밀수입한 것이 애완용 동물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개체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오는 5월부터 두 달 간 지방자치단체의 협조를 받아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붉은귀거북 서식실태 조사를 실시한 후 구체적인 관리대책을 본격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윤만형 기자 yunmh@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