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뉴포커스에서는 지난 6월 중순부터 8월말사이에 있던 홍수와 태풍으로 북한의 전반적 지역에서 많은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났다고 13일발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종합된 자료에 의하면 북한은 전국적으로 300명이 사망하고 600여명이 부상 및 행방불명됐다.
또한 8만 7,280여 세대의 살림집이 완전 및 부문 파괴, 침수됐으며 29만 8,050여명이 집을 잃었다.
12만 3,380여 정보의 농경지는 침수, 매몰, 유실됐다.
더불어 2,690여동의 공공 및 생산건물과 350여동의 교육 및 보건부문 건물이 파괴됐다.
통신은 인민경제 선행부문에서 커다란 피해가 났다고 보도하며, 92개소의 상수도망과 40개의 오수, 우수망, 1,300여정보의 소금밭이 못쓰게 됐으며, 1만 6,900여 그루의 가로수가 넘어졌다고 밝혔다.
전력공업부문에서는 131km의 송전선과 160여km의 전력케이블이 유실됐으며 전주대가 넘어지는 사고도 있었다.
석탄공업부문에서는 50여개소의 갱이 침수 혹은 붕락됐으며 180개소의 채탄장과 굴진막장이 물에 잠겼다.
또한 1만 7,150여㎡의 철길로반이 유실됐고, 300여개소의 철길이 사태에 묻혔으며 수십개소의 차굴과 철다리가 피해를 받았다.
통신은 특히 지난 8월 28일과 29일에 있던 태풍 15호는 나라의 전반적인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왔다고 강조하면서, 59명의 사망자와 50명의 행방불명자가 생겼고 8,100여세대의 살림집이 완전 및 부분 파괴, 침수됐으며 2만 6,320여명이 한지에 나앉았다고 보도했다.
이어 5만 1,600여정보의 농경지가 침수, 매몰, 유실되고 많은 농작물의 수확을 기대할 수 없게 됐다고 강조하며, 960여동의 공공 및 생산건물이 완전 또는 부분파괴되고 침수됐다고 밝혔다.
태풍피해를 가장 크게 받은 지역은 광산들이 위치하고 있는 검덕지구다. 이곳에서는 34명의 사망자와 42명의 행방불명자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