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측의 노동조합비 가압류나 손배소송 등이 부쩍 늘고 있는 가운데 재정난에 처한 노조들이 채권을 발생, 노조의 자금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이다. 민주노총과 보건의료노조 등에 따르면 장기파업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임금, 조합비 가압류 등으로 재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조들이 장기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충당, 채권발생이 노조의 자금줄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6개월이 넘는 장기파업을 벌이고 있는 보건의료노조는 임금과 조합비 등 모두 77억원이 가압류된 상태에서 지난 9월부터 액면가 5만원의 장기채권을 발행, 8천여 장을 판매해 현재까지 4억원 정도를 확보했다. 또 한국통신 계약직 노조도 지난해 7월부터 액면가 5만원부터 채권을 발행해 8천만원 상당을 판매했으며, 구입자가 금액을 기록하는 채권의 경우 최고 200만원의 채권이 팔린 것으로 전해졌다. 두산중공업 노조도 지난 8일부터 노조 사업비, 징계자 임금 지급 등을 위해 액면가 10만원과 50만원 등 두 종류의 채권을 발행해 적극 홍보에 나서고 있다.
이처럼 노조들이 채권발행에 앞다퉈 나서는 것은 꼭 상환을 받기보다는 어려운 노조를 ′십시일반′으로 돕고 투쟁을 지원한다는 의미에서 노동계 안팎에서 채권을 구입해 주는 관행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파업 등이 끝난 이후에 채권 상환이 꾸준히 이뤄져 다른 노조가 자금 마련을 위해 다시 채권을 판매할 경우 많은 사람들이 호응하는 것도 채권판매가 노조의 자금원으로서 정착하게 된 하나의 원인이라고 노조 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민주노총이 소속 조합을 상대로 지난 7월 사용자측의 손해배상 및 가압류금액을 조사한 결과 모두 39개 사업장 1천26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성우 기자 Jsu@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