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토’가 사라졌다. 올해부터 전국 초·중·고교에 대해 주5일 수업제가 전면 확대됐기 때문이다. 시행 일정과 방법은 학교 자율에 맡겼다. 학교마다 사정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전국 1만1천4백93개교 가운데 99.6퍼센트인 1만1천4백51개교가 올해부터 주5일 수업제에 참여하고 42개교는 종전처럼 월 2회 주5일제를 유지한다.
수업일수는 감소했지만 수업시수는 그대로 유지된다. 휴일이 늘어난 만큼 평일 수업시간도 늘어나는 것이다. 주5일 수업제를 시행하더라도 학생들의 기초학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 우리나라 초·중학교의 수업시수는 OECD 평균보다도 적기 때문에 더 이상 줄일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하다.
정부는 주5일 수업제의 안착을 위해 다양한 제도와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체험 기회를 부여하고 저소득층과 맞벌이 부부의 자녀 등 주5일 수업제로 인해 오히려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학생들을 위한 대책을 강화했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는 물론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부처들이 모두 나섰다.
토요돌봄교실은 수요가 있는 모든 초등학교와 특수학교로 확대 운영된다. 지난해 1천50개교에서 올해 5천2백25개교로 참여 학교가 크게 늘었다. 오전 6시30분부터 오후 10시까지 돌봄과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엄마품 온종일 돌봄교실’도 지난해 1천개 교실에서 올해 1천7백개 교실로 확대됐다.
주5일 수업제 실시로 사교육 부담이 증가할 것이란 우려도 있다. 정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할 계획이다. 먼저 교과 지도를 하는 토요방과후학교를 더욱 활성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23만여명에서 올해 75만명 수준으로 참여 학생수도 크게 늘었다.
주5일 수업제 지원센터도 신설했다. 주5일 수업제 성공을 위해 학교와 시·도 교육청, 지역사회의 역할을 제시하고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개발을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방과후학교 지원센터’는 10개에서 15개로 확대한다. 이 센터는 지역사회의 각종 교육·문화·체육 시설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발굴해 학교에 보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