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지역 거점고 추진방안이 ‘2(일반계고)+1(특성화고) 체제’로 일단 가닥이 잡혔다.
하지만 이 안은 전남도교육청이 세운 ‘원칙’인 ‘1+1체제’와 배치된다. 또 당초 영암교육지원청이 자체적으로 정했었던 방안으로, 거점고 선정을 위한 논의가 한 치의 진전 없이 원점으로 다시 회귀한 것이나 다름없어 향후 도교육청의 결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영암지역 거점고 육성 추진협의회(위원장 황용주)는 지난 17일 영암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3차 회의를 갖고 거점고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심의에 이어 이를 토대로 학교방문평가를 실시할 계획이었으나 거점고 선정 필요성에서부터 평가지표의 타당성에 이르기까지 또 다시 난상토론이 벌어지면서 무산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학교규모(30%), 학교위치(20%), 거점고 모델 용이성(30%), 학교경쟁력(20%) 등의 평가지표를 확정할 계획이었으나 객관성에 대한 문제제기 등 이의제기가 잇따라 사실상 폐기됐다. 또 5개 학교방문 평가계획도 무산됐다.
대신 이날 회의에서는 영암지역이 도내 군 단위에서는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삼호고의 경우 이제 막 신설된 학교인 점과 삼호읍의 도시 및 인구팽창 가능성 등을 감안, 영암지역 거점고 육성을 ‘2+1체제’로 해줄 것을 도교육청에 건의하기로 했다.
영암교육지원청 조창범 행정지원과장은 “영암지역 거점고 육성 추진협의회의 제시안이 ‘2+1체제’로 하자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어느 학교가 해당되는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면서 “협의회 안으로 도교육청에 제출한 뒤 이의 수용여부 등 최종 결정을 지켜보아야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