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미 전사자 유해발굴사업 교류?협력 활성화 기대 -
국방부는 오늘(11.28) 워싱턴 D.C 美 국방부 전쟁 포로 및 실종자 사무국에서 국방부 인사복지실장(김일생 고위공무원)과 미국 국방부 정책차관실 참모장(Peter F. Verga)이 각각 양국의 국방부장관을 대신하여 韓?美 국방부 간에「6/25 전사자 유해발굴 협력에 관한 합의각서(MOA)」를 처음으로 체결하였다.
이번 체결로 韓?美 간 유해발굴 협력체계가 한층 강화될 수 있게 되었으며, 양국 국방부의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유해발굴사업이 더욱 체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다.
이날 체결된 합의각서는 그동안 2년간의 협상과정을 거쳐 이번에 대한민국 국방부 인사복지실장이 ‘미 국방부 전쟁 포로 및 실종자 사무국(DPMO)'을 방문하여 이루어졌다.
이로써 2008년 대한민국 유해발굴감식단과 '미 합동 전쟁포로/실종자 확인사령부(JPAC)'가 실무부대 차원에서 체결한 양해각서(MOU)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상호 활발한 교류 및 공동 활동을 통해 유해발굴/감식/DNA검사 능력이 증진 될것으로 기되된다.
또한, 향후 남북 공동 유해발굴 추진 시 미측의 기술적 Know-how를 전수받고, 6.25 참전국의 실종자 유해발굴 및 인도를 통한 국제적 신뢰도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합의각서에는 유해발굴 협력대상에 한국군, 미군, UN군은 물론 카투사(KATUSA)를 포함하였으며, 향후 남북 공동 발굴에 대비해 비무장지대(DMZ)와 북한지역까지 그 협력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상호 공동 조사/발굴/감식은 물론 UN군으로 추정되는 유해를 포함하여 양측이 발굴한 전사자 유해에 대하여 상호 인도절차를 명시하였다.
남한지역에서 미측이 발굴한 유해라 할지라도 한/미 공동감식을 한 다음 미국으로 송환하도록 절차를 명시함으로써 미측이 남한 내에서 임의로 유해를 발굴하여 반출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국방부 인사복지실장은 이날 합의각서 체결식이 끝난 후 시내 한 식당에서 체결식에 참여한 한?미 주요인사와 함께 6/25 참전용사 10명을 초청하여 위로 오찬행사를 주관했다.
이 자리에서는 국방부의 유해발굴사업 동영상 소개를 통해 미국에 이은 세계적 수준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유해발굴, 감식, DNA검사 능력을 선보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