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년 동안 2.4배 증가…경기 지역이 가장 많아
자동차, 배 등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 2007년에 이미 배출량이 1억톤이 넘었으며, 전국에서 경기도 지역이 배출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해양부는 2007년도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역별·교통수단별로 조사한 결과를 이 같이 발표했다. 그 동안 산업·수송·건설 등의 부문별 배출량 조사는 있었으나, 교통부문의 지역별·수단별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2007년 기준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1억 98만 tCO2(CO2환산톤)으로 1990년 배출량 4249만 tCO2에 비해 약 2.4배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1990~2000년까지는 약 7.5%, 그 이후는 매년 약 2%씩 늘어 증가율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수단별로는 도로 7848만 tCO2(77.7%), 해운 1,286만 tCO2(12.7%), 항공 897만 tCO2(8.9%), 철도 67만 tCO2(0.7%) 순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998만 tCO2(19.8%)로 가장 많았으며, 인천 1261만 tCO2(12.5%), 서울 1249만 tCO2(12.4%), 부산 844만 tCO2(8.4%), 경남 627만 tCO2(6.2%), 울산 616만 tCO2(6.1%)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이 4508만 tCO2으로 전국 배출량의 44.7%를 차지했다. 또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평균 9.30 tCO2으로 일본(9.50 tCO2), 독일(9.86 tCO2), 영국(8.80 tCO2) 등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연평균 증가율(0.28%)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온실가스 배출량 의무감축 대상국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에 대비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조사는 ‘2008년 국가교통 수요조사 및 DB구축사업’의 하나로 추진됐으며, 조사결과는 국가교통DB센터(www.ktdb.go.kr)를 통해 일반국민에게 무상으로 공개된다. ‘국가교통수요조사 및 DB구축사업’은 교통량·통행실태 및 교통시설 현황 등 교통기초자료를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고 DB로 구축해 교통정책과 계획수립 등에 공동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