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양, 농업용수는 안전농산물 생산에 적합한 농업환경 유지
○ 전북도내에 조성되고 있는 친환경 농업지구의 농업환경은 농약, 중금속 등 유해물질에는 안전하나, 토양양분을 개량해야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전북농업기술원에서(원장 조영철)는 군산, 남원, 고창, 익산, 김제, 순창 등 친환경농업조성지구 769ha(492농가)의 토양 및 농업용수를 대상으로 카드뮴(Cd), 납(Pb), 니켈(Ni), 구리(Cu) 등의 유해중금속을 분석한 결과 중금속 함량은 기준치의 10분의 1수준 이하 이며, 수은, 비소 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토양의 카드뮴은 0.04~0.09, 납은 2.1~6.4, 니켈은 2.4~9.6 mg/kg (ppm)으로 토양환경보전법의 우려기준(카드뮴 1.5mg/kg) 및 대책기준(카드뮴 4.0mg/kg)에 크게 낮았으며,
○ 농업용수의 카드뮴은 0.0003, 납, 크롬은 0.0017 mg/kg (ppm)으로 농업용수 수질환경기준(카드뮴 0.005mg/kg)이하로 친환경 안전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토양양분인 유기물, 인산, 규산 함량은 논토양의 적정수준(유기물 2.5~3.0%, 인산 80~120ppm, 규산 158~180ppm)보다 낮은 지역이 많아 품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토양관리가 필요하다
○ 도내 친환경 재배농가 및 면적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및 GAP(우수농산물)인증 농산물을 생산하려면 반드시 토양 화학성 및 중금속을 분석하여야 하는데 도내에서 신청한 농가의 토양 및 농업용수는 모두 기준치에 적합 하였다.
○ 농경지 토양의 영양성분은 농업인의 관리방법에 따라 많이 달라지므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토양환경의 건전성이 가장 중요한데
○ 농업기술원에서는 벼, 오이, 고추, 토마토 등이 품질 좋고 안전하게 생산되어 질 수 있는 토양관리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생산된 농산물의 안전성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도내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