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계 수요 기반 R&D를 위한 도시광산 전략금속(20개) 선정
- 선진국(日, 獨) 대비 50% 수준인 기술력 향상을 위한 병목요인 제거
- 도시광산자원 수거?유통 취약요인에 대한 정책지원 강화
- 자유로운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규제사항 완화
□ 지식경제부(장관: 최중경)는 9.23(금)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생산기술연구원, 지질자원연구원, 도시광산협회 등 유관기관과 도시광산업체가 참석한 가운데「도시광산 활성화 포럼」을 개최함
ㅇ 이번 행사는 도시광산 기술, 유통구조, 규제현황 등 도시광산산업의 현안을 논의하고, 향후 도시광산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도출하는 자리임
* 전문가들은 도시광산 잠재 가치는 50조원(매년 4조원 규모 발생)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 도시광산업체는 총 860개로 종사자는 17,000명 수준
- 도시광산전업기업은 종사자 평균 21명, 5인 이하가 60% 이상으로 영세함
□ ‘도시광산 활성화를 위한 패널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아래의 주요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음
< 도시광산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 과제 >
① 산업계 수요기반 R&D를 위한 도시광산 전략금속 선정 < 생기원 >
□ 산업계의 수요, 재자원화의 가능성 등을 감안한 전략적인 R&D 추진을 위해 20대 도시광산 전략금속 선정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