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종별 ‘단위노동비용’ 제조업, 15개 업종 증가, 7개 업종 감소
경기침체로 산업생산 증가세가 둔화된 반면, 노동투입량이 늘면서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전년 동기대비 감소세를 기록 이는 7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와 한국생산성본부는 08년 3/4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0.4% 감소하였다고 밝혔다.이는 민간소비(1.1%) 증가세가 현저히 둔화되었으나, 재화수출(8.0%) 및 설비투자(4.7%), 정부소비(4.4%) 등의 증가로 제조업 산출량(산업생산)이 전년동기대비 5.5%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노동투입량은 6.0% 증가한데 기인한 것이다. 특히 최근 경기침체로 산업생산 역시 증가세가 다소 둔화('07.3/4 6.0%→5.5%)되고 있으나, 전년대비 근로일수 증가('07.3/4 60일→64일) 등으로 노동투입량('07.3/4 - 3.8%→6.0%)이 증가한데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주요 부문 및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IT(2.4%)/비IT부문(-1.0%), 중화학공업(1.0%)/경공업(-3.3%), 대기업(0.4%)/중소기업(-2.1%) 등으로 나타났으며, 업종별 노동생산성은 제조업 22개 업종 중 11개 업종이 증가한 반면, 11개 업종은 감소했다.증가한 업종은 기타 운송장비(24.2%), 비금속광물제품(9.9%), 펄프·종이제품(9.6%), 봉제의복·모피(5.8%), 전기기계·변환장치(5.8%), 코크스·석유정제(5.7%) 등이며 감소한 업종은 출판·인쇄·기록매체(-18.5%), 목재·나무(-14.6%), 조립금속제품(-14.3%), 의료·정밀·광학기기(-11.1%) 등이다.한편, 시간당 명목임금을 노동생산성으로 나눈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은 99.8(2005년=100)로 2007년 3분기에 비해 2.4% 감소했다. 주요 부문 및 업종별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IT(0.1%)/비IT부문(3.9%), 중화학공업(1.2%)/경공업(8.1%), 대기업(-1.3%)/중소기업(3.7%) 등으로 나타났으며, 업종별 단위노동비용은 제조업 22개 업종 중, 15개 업종이 증가한 반면, 7개 업종이 감소했다.지경부는 "시간당 명목임금 감소율이 2.8%로 노동생산성 감소율(-0.4%)를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