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7일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행 5.00%에서 4.25%로 0.75% 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5.25%에서 5.0%로 내린 지난 9일 이후 18일만에 다시 추가로 0.75% 포인트 인하하는 것이다. 한은이 정례 금융통화위원회가 임시 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내린 것은 9.11테러 이후 처음이다. 당시 한은은 9.11테러 여파로 국내외 경제가 불안한 조짐을 보이자 2001년 9월19일 임시 금통위를 소집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린 바 있다. 한은은 국제금융시장 불안의 영향이 국내시장으로 파급되면서 환율 및 주가가 급등락하고 부분적인 신용경색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앞으로 실물경제 활동이 크게 위축될 가능성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추가금리 인하 배경을 설명했다. 이성태 한은 총재는 “이번 조치는 직접적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국내 경기둔화를 더 가속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서 이뤄졌다”며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인하함으로써 내수경기위축, 경제성장률의 급속한 하락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앞으로 통화정책은 물가상승압력의 변화와 함께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경기의 과도한 위축 가능성에 유의하면서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은은 유동성 공급채널 다양화와 채권시장의 원활한 자금순환을 통해 금융시장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공개시장조작 대상증권을 은행채·일부특수채까지 확대했다. 한은은 현행 공개시장조작 대상증권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농협, 수협, 수출입은행 등이 발행한 채권과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이 발행한 채권,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발행한 주택저당증권(MBS)의 증권을 추가하기로 했다. 대상증권으로 포함된 은행채와 일부 특수채는 주로 환매조건부(RP) 매매 대상증권으로 활용된다. 다만 자기발행채권 및 관계회사 발행채권은 매매 대상증권에서 제외된다. 한은은 이번 추가되는 대상증권의 위험관리를 위해 증거금률을 기존의 국채, 정부보증채, 통안증권(105%) 보다 높게 설정했다. 한은은 리먼 브라더스 파산보호 신청 이후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신용위험 경계감이 크게 증대됨에 따라 은행채 등 크레딧물 시장의 부분경색으로 장단기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자금흐름이 불안정한 상황이라며, 이번 조치로 은행채 시장의 수급개선 기여 및 증권사 등 기관투자가들이 은행채를 매도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개시장조작 대상증권 추가는 11월7일부터 시행되며, 시행일 이후 1년간 대상에 포함된다. 아울러 한은은 총액한도대출 금리를 연 3.25%에서 연 2.50%로 0.75%포인트 인하해 27일부터 시행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