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에게는 언제나 좋은 것을 먹이고 입히고 싶은 것이 모든 부모들의 마음이고 소망이다.그래서 어린이집을 보낼 때도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등 관련기관의 시설과 서비스를 꼼꼼하게 따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평가인증이란, 영유아에게 전문적인 보호와 수준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평가인증지표를 기준으로 한 보육시설이 현재 수준에 적합하고 적정한지를 점검하면서 개선 한 후 국가에 평가 의뢰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보육은 삶의 매우 중요하고 전문적인 영역으로써 보육현장의 의미와 보육교사의 전문적인 노력 없이 질적 수준의 향상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의 도입은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다. 여기서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어떠한 기준이 필요한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크게는 안전관리, 위생관리, 급식관리, 아동 확대관리로 분류 되는데, 안전관리에는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위해 손낌방지와 모서리보호 및 안전펜스가 설치되어야 한다. 손낌방지 설치는 어린이집에서 가장 많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곳이며, 평가인증 필수사항으로 설치해야 한다.
여기서 주름판 보다 원통형은 디자인부터 제품의 접착력, 유지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모서리보호대는 교구장, 선반, 모서리 등에 설치하여 뾰족한 모서리에 아이들이 부딪혀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항상 여분을 가지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안전문인데, 교실문에는 기성품인 베이비도어를 사용하며, 주방 및 계단입구, 출입구, 베란다 등에는 원목 안전문이나 무지개안전문을 원하는 사이즈에 맞춰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안전문은 기준에 적합한 튼튼한 제품을 고르는데 주의해야 한다. 계단 논슬립은 실내, 외부 계단에 기존 대리석, 나무 등에 관계없이 어디서나 손쉽게 붙일 수 있는 제품이며, 어린이의 미끄럼 및 안전사고를 예방 하는 제품이다.
이밖에 미끄럼방지매트, 문쾅닫힘 방지와 소음방지를 위한 문고정장치, 220V 안전커버, 여닫이문 전용 문고리 부분 손낌보호대, 욕실 미끄럼방지테이프, 유아벽매트, 깨지지 않는 안전 거울 등이 준비 되어 있어야 한다. 위생관리에는 주방위생 및 개인위생을 통해 식중독 사고 및 각종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컵 소독기는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등에서 필수제품이며, 건조기능이 있어 사용량이 많은 공공기관에서 빠른 시간 내에 살균하는데 효과적이다. 강력한 자외선 소독 램프로 40분 이상 살균을 시켜주는 칼, 도마 소독기, 칫솔소독기, 식자재의 교차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조리용도에 따라 색깔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칼라식도, 도마, 위생복, 모자, 앞치마 등이 필요하다.
위생관리에 필요한 제품에는 자동손소독기와, 거품비누, 소량의 물을 고압 미세분무 하여 물을 손 전체에 분사시켜 극소량의 물만으로 손,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는 손세정기, 손소독제 디스펜서, 젖병 살균소독기, 핸드드라이어, 대형장난감 소독기, 다용도 소독기, 배식세트, 서빙카트, 놀이방매트, 온습도계, 적외선 귀체온계, 휴대용 살균, 소독제 등이 있다.
급식관리에는 안전한 식자재와 관리를 통한 체계적인 급식관리가 필요하다. 현관의 음식냄새와 변질, 해충 등 위생적인 문제를 냉장형 급식 보존대를 사용하여 우리 아이들의 먹거리를 지킨다. 또한 부피가 작아 냉동고에 보관이 용이한 사각 보존식 용기, 원형 보존식 용기, 냉장고온도계, 식품내부 온도를 체크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탐침 온도계 등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에 아동 확대관리는 어린이보호구역내 어린이대상 범죄 취약지역에 CCTV를 설치하여 각종 사고 및 범죄로 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고 범죄를 예방해야 한다.
지난 2011년 4월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어린이집 38,021개소 중 26,344개소(69.3%)가 국가가 공인하는 ’평가인증 어린이집’이 되었다고 밝힌바 있다. 이는 점차적으로 관련시설에서도 보다 더 좋은 환경과 시설들을 갖추고자 노력하는 입증결과인데, 이런 자체적인 점검과 환경 개선들은 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모들이 좋은 어린이집을 깐깐하게 선택하는데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어린이집 평가인증 기준에 적합한 여러 제품에 대한 정보는 아이보드미(
www.ibodmi.com)를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