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 지도부 청와대 초청 만찬…“역사와 안보 전략의 문제”
일본의 독도 주변해역 탐사계획에 대한 정부의 대응기조가 기존의 '조용한 외교'를 벗어나 주권수호 차원의 단호한 대응으로 선회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여야 지도부 초청 만찬에서 “이번 사태는 작게 보면 해저수로탐사라는 작은 행위를 둘러싼 EEZ 경계분쟁 수준의 문제지만 큰 틀에서 보면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며 “일본의 분쟁지역화 의도에 말리지 않기 위해 ‘조용한 외교’를 수년간 해왔으나 이 원칙을 계속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야스쿠니 신사참배와 역사교과서 문제, 독도에 대한 도발행위 등 이것들을 종합하면 일본의 국수주의 성향을 가진 정권이 과거 침략의 역사를 정당화하는 행위이기도 하고, 미래 동북아 질서에 대한 도전적 행위가 아니냐고 볼 수 있다”며 “즉 역사의 문제이자 미래 안보전략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이를 어느 틀에서 볼지, 어느 선에서 대응할지 국민적 판단을 모으고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며 한국의 주권과 동북아 미래평화질서 유지를 위한 만찬에 참석한 여야 지도자들의 의견을 구했다. 이날 오후 6시 30분부터 2시간여 동안 열린 청와대 만찬은 참석자 모두 일본의 도발은 간과할 수 없으며 단호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은 결연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은 “EEZ 문제는 초당적으로 대처를 해야 하고 행동으로 대응할 준비를 갖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민주노동당 문성현 대표 또한 “조용한 대응은 안된다”며 “치밀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준비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낙연 원내대표는 “도발에 대해서 침묵하는 것은 불가한 일”이라며 “지금 정부가 준비 중인 그러한 대응 방향은 국민의 뜻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만찬에 참석은 못했지만 이날 모임에서 수렴되는 의견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겠다는 뜻을 미리 밝혔다고 송민순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이 전했다. 송 실장은 “이 문제는 조용한 외교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고 기대할 상황은 아니다”며 “일본이 우리의 EEZ 영역을 침범하는 이러한 조치를 자진해서 철회할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는 데 여야 지도부가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도 19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수입업협회 초청 강연에서 일본 탐사선의 독도주변 탐사 계획과 관련 "물리적으로 악화되는 상황을 바라지는 않지만 독도 영유권 수호 차원에서 주권적 조치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해양경찰청은 18일 비상경계근무에 돌입했다. 해경은 전날 EEZ 주변에 5000t급 경비함인 삼봉호를 비롯해 8척을 투입한 데 이어 19일 경비함 10척을 추가 배치했다. 일본 정부, 측량 착수시기 마지막 저울질한편 독도 수로 측량선을 출항시킨 일본 정부는 측량 착수시기를 놓고 마지막 저울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도쿄신문이 19일 전했다. 신문은 20일께로 예정했던 조사 개시 시기가 이달 하순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산케이신문도 21일 조사를 시작하는 방향으로 일정을 조정 중이나 한국 정부의 강력한 반발로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조사 시작 시기를 연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아사히·요미우리·마이니치 등 일부 유력 언론들은 19일 일본 정부의 측량선 도쿄 출항 사실을 보도하지 않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