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활용센터 중고 가전.가구를 저소득층에 무상지원, 나눔문화 확산
서울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한부모가정, 장애인가구, 모녀가정 등 저소득 취약계층에 가구 및 가전제품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서울시는 2010년 3월부터 29개 재활용센터에서 국민생활기초수급자,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노숙인쉼터 주거독립세대에 사용가능한 중고물품을 무상으로 지원한 결과, 지난해에는 501가구에 가구 178점, 가전제품 358점 등 총 5백 43점을 지원하였다.
안방서 전화 한 통이면 무상으로 가전.가구 배달부터 설치까지 큰 호응
지원을 받으신 분들은 전화 한 통화로 비록 남이 쓰던 중고물품이지만 새 것 같이 깨끗하고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안방까지 편리하게 배달해주기 때문에 호응이 좋다.
중고가구 무상지원은 재활용센터협의회에서 재활용센터 인식개선을 위한 자원재사용 활성화 및 취약계층에 대한 기부차원에서 처음 제안하여 도입하였으며 저소득층 생활에도 보탬이 되므로 앞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시가 최초 도입한 제도, 구에서 대상자 선정하면 센터에서 물품 배달
서울시가 처음 도입한 이 제도는 자치구에서 무상지원 대상자를 선정하고, 지원대상자가 원하는 물품을 신청하면 재활용센터에서 대상자의 거주지 안방까지 배달한다.
신청대상자가 희망하는 물품을 동사무소나 자치구에 신청하면 자치구에 관할 재활용센터에 물품이 있는지 여부를 우선 조회하고 없으면 타 자치구 소재 재활용센터에 조회하여 제공하는 물품이 확보되면 거주지 안방까지 재활용센터 직원이 직접 운반 설치해 준다.
2011년 5월부터는 시 홈페이지에서 클릭!, 안방으로 배달
금년 5월부터 시 홈페이지에 재활용센터에서 보유한 물품의 사진과 규격을 올려 대상자가 원하는 물품을 안방에서 클릭만 하면 배달할 계획이다.
저소득층 가전.가구 무상 제공은 재사용 하고 나눠쓰는 일석이조 효과
서울시는 저소득층에 가구나 가전제품을 무상 제공함으로써 자원순환의 커다란 축인 재사용(Reuse)도 활성화하고 저소득가구와 나눠 쓰는 일석 이조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재활용센터, 사회적기업으로 육성 지원하고 사전방문 수거시스템 구축
서울시는 재활용센터의 활성화를 위하여 사회적기업으로 육성지원, 자치구시설을 저렴하게 임대, 시민이 배출하는 중고가구를 재활용센터가 사전방문 수거시스템을 구축하여 가구확보를 지원하는 한편 자치구 홈페이지, 지역신문 등에 지속적인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중고 가구.가전.장난감 기부 및 지원을 희망하는 시민은 서울특별시 자원순환과(2115-7490)나, 각 자치구 청소행정과로 문의하면 된다.
이대현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앞으로도 서울시는 저소득층 무상가전.가구 지원사업과 같이 생활 속 재활용을 통한 자원절약의 정신과 이웃과 나누어 쓰는 나눔 문화도 확산할 수 있는 「친환경 윈윈」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해 나갈 생각”이라며 아울러 중고가구와 가전제품 등 배출시 사전에 재활용센터에 연락하여 수거될 수 있도록 많은 시민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 TAG
-